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떡뚜꺼삐
떡뚜꺼삐

우리 나라는 3면이 바다인데요

우리 나라 3면의 바닷물은 왜 청탁도(淸濁度)가 차이가 날까요?

서해는 탁하고, 동해는 짙푸르고 맑고, 남해도 깨끗하잖아요.

국토가 작으니 3면의 국토와 접해있는 바닷물 끼리도 그렇게 멀지 않는데 말이죠.

이런 현상이 과학적으로 이유가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굉장한호돌이84
      굉장한호돌이84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지형을보면 산맥들이 오른쪽에 치우쳐져있고 왼쪽은 비교적 완만하고 넓습니다. 동해는 가파르고 좁습니다.

      그래서 강이 형성되면 서해쪽은 유속이 느리지만 많은양의 토사물, 퇴적물들이 해변으로 도달합니다. 또한 서해바다는 중국과 우리나라 사이 비교적잔잔한 바다가 형성되어있어 해안가가 얕고 넓게 펼쳐져 갯벌이 많습니다.

      즉, 전체적인 육지와 바다의 지형과 지정학적위치때문에 차이가 발생합니다.

      감사합니다.

    • 우리 나라는 동쪽, 서쪽, 남쪽으로 3면이 바다로 둘러싸여 있습니다. 이러한 바다는 지리적인 조건에 따라 청탁도(淸濁度)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동해쪽 바다는 대륙에서부터 유입되는 많은 미세한 입자들 때문에 청탁도가 높게 나타납니다. 특히 봄철에는 대륙과의 온도차로 인해 바람이 강하게 불어나며, 이로 인해 해류가 발생하면서 대륙에서 유입되는 입자들이 많아져 청탁도가 높아집니다.

      한편, 서해쪽과 남해쪽 바다는 바다와 연결된 지역이 많기 때문에 바다의 수소이온농도가 높아지면서 청탁도가 낮게 나타납니다. 특히 남해쪽 바다는 서해쪽에 비해 바람이 약하고 해류도 미약하기 때문에 청탁도가 상대적으로 더 낮게 나타납니다.

      또한, 각 지역의 강과 같은 물류에서의 미세 입자와 수질 등 다양한 환경적인 요인들도 청탁도에 영향을 미칩니다. 이러한 이유들로 인해 우리 나라 3면의 바닷물의 청탁도가 차이가 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 나라의 3면 해안은 각각 서해, 동해, 남해에 접해있습니다. 이들 해역의 바닷물의 청탁도(물의 굴절률에 따라 빛이 흐리게 보이는 정도)가 차이가 나는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서해와 동해는 지질학적 특성이 다릅니다. 서해는 인접한 육지의 모래와 흙 등이 바다로 유입되어 바닷물이 흐릿한 경향을 보입니다. 반면 동해는 대륙에서 유입되는 물질이 적고 청정한 물이 많아서 물이 맑습니다.

      둘째, 동해와 남해는 수온이 차이가 나기 때문에 청탁도가 다를 수 있습니다. 동해는 겨울철에 수온이 낮기 때문에 더 맑아지고, 남해는 여름철에 수온이 높기 때문에 더 탁한 경향이 있습니다.

      셋째, 해양 조건에 따라 바닷물의 청탁도도 다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폭풍우나 강한 파도로 인해 해안 부근에 있는 흙, 모래, 부유물질 등이 바다로 유입되어 물이 흐릿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우리 나라의 3면 바닷물의 청탁도가 다른 이유는 지질학적, 기상학적, 그리고 해양학적인 여러 가지 요인들이 조합되어 영향을 미치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서해바다가 가장 큰 차이인데요. 이는 부유물질이 많이 깨문입니다. 따라서 빛반사에 의해서 탁해 보이는것이죠.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청탁도의 경우 강에서 흘러나온 물에 의해 결정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서해의 경우 중국의 강, 한국의 강들이 껴있어 탁하고 동해의 경우 바다가 넓고 껴있는 강이 별로 없어서 그런거 같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대한민국 3면은 서해, 동해, 남해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이들 해역은 지형과 해류, 유입량이 서로 다릅니다. 예를 들어, 서해는 유입량이 많아 염분 농도가 낮고 청탁도가 낮은 반면, 동해는 유입량이 적고 염분 농도가 높아 청탁도가 높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조은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의 깊이가 다르기 때문이죠. 동고서저형 지형이라 우리나라 국토도 동쪽엔 산이 많죠.

      바다도 마찬가집니다. 동해가 깊고 서해가 얕죠. 그래서 바다의 색이 다르게 눈에 보입니다. 더 들어가면 빛의 투과 및 반사의 영향이기도 하구요.

    • 안녕하세요. 홍기윤 과학전문가입니다.

      한반도의 동쪽과 서쪽 그리고 남쪽 해안은 그 생성원인과 지형적 특징이 다를 뿐만 아니라 조석 환경도 큰 차이가 있기 때문입니다. 예를들어 간만의 차이를 보면 동해안은 평균조차 2m 이내의 소조차 환경인데 비해 남해안은 2~4m의 중조차 환경이고, 서해안은 4미터 이상의 대조차 환경입니다. 이에따라 서해안을 따라 갯벌이 넓게 발달해 있습니다. 바다의 특징 또한 다릅니다. 서해는 평균수심 44m에 불과한 얕은 바다인 반면, 동해는 평균수심이 1000m가 넘고 가장 깊은 곳은 수심이 4000m 가까이 되는 깊은 바다입니다. 빙하가 현재처럼 줄어들기 전에는 서해의 대부분이 육지였고, 한반도와 일본이 육지로 연결되어 동해는 태평양과 분리된 커다란 호수 같았습니다. 그래서 옛날 한반도에 살던 우리 조상들은 강만 건너면 중국대륙으로 건너갈 수 있었을ㅈ것이고 일본으로 걸어서 이동할 수 있었을 것입니다. 서해는 황해라고도 부르는데 중국대륙의 양쯔강 같은 탁한 강물이 흘러들어와 누런 바닷물이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