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어 해석 및 설명부탁드려요!!!!
interst on reserve balance = IORB
지급준비금 이자인데요 어떻게 이런의미를 가지게됐는지 단어별로 자세한 설명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태영 경제전문가입니다.
번역은 지급준비금에 대한 이자 로 됩니다
Interest 이자(금융기관이 중앙은행에 예치한 준비금에 대해 받는 이자)
On: ~에 대한 (특정 대상에 대해 적용된다는 의미로, 여기서는 준비금에 대한 ~)
Reserve: 예치금(은행이 고객 예금의 일부를 중앙은행에 예치한 금액을 의미)
Balances 잔액(은행이 중앙은행에 예치한 준비금의 잔액)
=> "reserve balance"는 일반적으로 "지급준비금"으로 번역됨
Interest on Reserve Balances (IORB)는 중앙은행이 상업은행이 중앙은행에 보유한 지급준비금 잔액에 대해 지급하는 이자를 의미합니다.
각 단어를 살펴보면, Interest는 예치된 자금에 대한 대가로 지급되는 이자, Reserve는 상업은행이 예금 인출에 대비해 중앙은행에 보유한 준비금, Balance는 예치된 금액을 뜻합니다.
IORB는 중앙은행이 상업은행의 자금 운용에 영향을 미치고 경제의 유동성을 조절하는 중요한 정책 도구로 사용됩니다.
안녕하세요. 신동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지급준비제도란 금융기관으로 하여금 지급준비금 적립대상 채무의 일정비율(지급준비율)에 해당하는 금액을 중앙은행에 지급준비금으로 예치하도록 의무화하는 제도입니다. 중앙은행은 지급준비율을 조정하여 금융기관의 자금사정을 변화시킴으로써 시중 유동성을 조절하고 금융안정을 도모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급준비율을 올리면 은행들은 더 많은 자금을 지급준비금으로 예치해야 하기 때문에 대출 취급이나 유가증권 매입 여력이 축소되고 결국 시중에 유통되는 돈의 양이 줄어들게 됩니다. 이에 따라 시중 유동성이 줄어들게 되고, 과도한 대출 증가로 인한 금융불안 가능성도 방지할 수 있게 됩니다. 지급준비제도는 1980년대 이후 전세계적으로 통화정책이 통화량 중심에서 금리 중심으로 전환됨에 따라 그 활용도가 과거에 비해 저하된 것은 사실이지만 우리나라를 비롯한 주요국에서 여전히 중요한 통화정책 수단으로 간주되고 있습니다. 이는 금융기관으로 하여금 중앙은행에 일정규모의 지급준비금을 당좌예금으로 예치하게 함으로써 중앙은행 당좌예금계좌를 이용한 금융기관간 지급결제가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함은 물론 단기시장금리를 안정시킴으로써금리정책의 유효성을 제고하는 등 그 유용성이 크기 때문입니다.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영어 해석과 설명에 대한 내용입니다.
먼저 Interest 는 이자를 의미하며 여기서 전치사 on 이 붙으면 ~에 붙는 이자가 됩니다.
그리고 Reserve 란 것은 준비된, 예비되었단 것이며
Balance 는 남은 잔금 혹은 남은 돈 정도로 해석이 됩니다.
그렇기에 이 모든 것을 다 합쳐보면 준비된 잔금에 붙는 이자 정도로 해석이 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Interest on Reserve Balances" (IORB)은 미국 연방준비제도가 은행들이 보유한 준비금에 지급하는 이자를 의미합니다.
이는 은행들이 연준에 예치한 자금에 안전한 투자 옵션으로 연준이 단기 금리를 조절하는 주요 도구로 활용됩니다.
IORB는 은행들이 낮은 이자율로 자금을 빌려주기보다는 연준에 예치하도록 유도해 금융시장에서 금리가 과도하게 떨어지지 않도록 안정성을 유지하는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안동주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중은행들은 고객의 돈을 예금으로 받고, 도 다른 고객에게 이 돈을 대출로 빌려주며 고객에게 주는 예금이자 대비 더 높은 대출이자를 받아 돈을 법니다.
근데 고객에게 100만원 예금받으면 한꺼 번에 여러고객이 찾아올 확률은 드물기 때문에 최소한의 지급준비금만 남기고 나머지는 다 대출해줍니다.. 우리나라는 평균 7%인데 보통 예시를 들때는 쉽게 10%로 설명하고 합니다.
그러면 100만원 받은거 10만원 놔두고 90만원을 대출사업으로 쓰는데, 이 지급준비금을 시중은행은 중앙은행에 맡깁니다. 이때 중앙은행에 맡기면 결국 중앙은행도 시중은행에 이자를 주는데 이게 말씀하신 IORB입니다.
근데 지급준비금이 10만원이라면 10만원에 대한 이자를 주는게 아니라 원래 당연히 맡겨야하는 10만원보다 더 맡기면 그 초과분에 대해서 이자를 줍니다. 11만원 맡기면 1만원에 대한 이자를 주는 것이죠.
이런 특성이 있어 유동성 조절할때도 쓰기도 합니다. IORB높이면 중앙은행에 돈 맡기는 매력이 높아지니까 시중은행이 대출보다 중앙은행에 더 예치할수 있어서 유동성이 줄어들고, IORB 낮추면 반대현상이 일어날것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창현 경제전문가입니다.
IORB는 지급준비금 이자를 의미하는 영어 약자입니다.
Interest는 이자를 의미합니다. 즉 돈을 빌려준 대가로 받는 수익을 의미합니다.
on은 ~에 대한, ~의를 의미합니다. 지급준비금에 대한 이자라는 것을 의미합니다.
Reserve는 준비금을 말합니다. 은행이 예금의 일정 비율을 중앙은행에 예치해두는 돈을 의미합니다. 예금 인출에 대비하여, 통화량을 조절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됩니다.
Balances는 잔액을 의미합니다. 이는 계좌에 남아있는 돈의 액수를 의미합니다.
이것을 종합해보면, IORB는 중앙은행이 은행들이 예치해 둔 지급준비금에 대한 지급하는 이자를 의미하는 것입니다.
은행은 고객으로부터 받은 예금 중 일부를 중앙은행에 예치하고, 이에 대한 이자를 중앙은행으로부터 받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inerest 이자
reserve 예약하다
balance 잔금
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걸 다 합치면 지급준비금에 대한 이자로 해석이 될 거 같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