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신통한발발이169
신통한발발이169

충전식 배터리가 방전되고나면 충전이 안되나요?

차량 배터리가 방전되어 시동이 안걸려서 보험 서비스불렀는데 전압이 더 떨어졌으면 보조배터리로도 시동 안걸리고 배터리 바꿨어야 한다더라구요

배터리가 완전 방전 되버리면 왜 충전이 다시 안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되면 충전이 어려운 이유는 배터리 내부의 화학 반응이 불안정해지기 때문입니다. 방전이 심하면 배터리의 셀에 손상이 생기고, 이로 인해 충전 효율이 떨어지거나 충전 자체가 불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따라서 배터리를 교체하는 것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충전식 배터리가 완전히 방전된 후 충전이 어려워지는 이유는 주로 화학적 변화와 배터리 구성 요소의 손상에 있습니다. 차량 배터리와 같은 납축 배터리(lead-acid battery)나 리튬 이온 배터리는 방전이 심할수록 내부에서 비가역적(irreversible)인 변형이 발생해 배터리 성능이 떨어지고, 때로는 충전이 불가능해질 수 있습니다.
    납축 배터리가 방전될 때, 황산연(PbSO₄)이 배터리의 양극과 음극에 축적됩니다. 배터리가 정상적으로 충전되면 이 황산연이 다시 황산으로 환원되어야 하는데, 완전히 방전된 상태가 오래 지속되면 황산연이 결정화되어 전극 표면에 고착됩니다. 이로 인해 전기 흐름이 원활하지 않게 되어 배터리 내부 저항이 증가하며, 재충전이 어려워지는 상태에 이르게 됩니다.
    또한, 극단적으로 방전된 배터리는 전압이 너무 낮아져 충전 회로에서 충전 가능 상태로 인식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차량의 충전 시스템이나 보조 배터리로 연결해도 충전이 불가능해지거나 충전 속도가 매우 느려질 수 있습니다.
    리튬 이온 배터리도 과방전 상태에 도달하면 화학적 변화가 발생합니다. 리튬 이온이 너무 많이 빠져나가면, 전극이 손상되거나 내부 보호 회로가 활성화되어 충전을 차단할 수 있습니다. 특히 차량용 리튬 배터리는 과방전을 방지하는 보호 회로가 있어 일정 전압 이하로 떨어지면 충전 자체가 차단되도록 설계됩니다. 이는 배티러 수명을 보호하고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조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