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

조선시대 과거시험은 총 몇 단계로 이루어졌나요?

과거시험 합격은 조선시대 많은 양반들의 목표였습니다. 너무 어려운 탓에 평생을 노력해도 합격못하는 사람이 많았다고 하던데 조선시대 과거시험은 총 몇 단계로 이루어졌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조유성 전문가입니다.

    ✅️ 조선시대 과거 시험 중에서 소과의 경우 생원시와 진사시, 대과의 경우 초시, 복시, 전시 이렇게 세 단계로 구분되었습니다. 이 중 전시는 국왕이 직접 어떤 사람을 합격시킬지를 결정하던 '최종면접' 느낌이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조선시대 과거 시험은 문과의 경우 우선 소과와 대과로 구분합니다 소과(생진과)는 초시로 한성과 각 도에서 실시하는 1차 시험으로 지역별로 일정 인원을 선발하였습니다. 그리고 이들이 한성에서 복시를 실시하였습니다. 초시 합격자 중에서 생원 100명, 진사 100명을 선발하여 성균관 입학 자격과 대과 응시 자격을 부여했습니다.

    대과는 3단계로 각 지방에서 240명을 선발하는 초시를 거쳐 복시로 한양에서 33명을 선발합니다. 그리고 임금이 주관하는 최종 시험인 전시에서 등수를 결정합니다.

    즉 조선시대 과거 시험은 소과 2단계, 대과 3단계로 모두 5단계로 진행됩니다. 그리고 무과는 소과 없이 초시, 복시, 전시로 진행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