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반가운말똥구리56
반가운말똥구리56

꿀벌과 토종벌은 엄연하게 다른가요?

꿀벌이라는 품종 안에서 토종벌이 있는 것인가요?

흔히 양봉을 하는 벌은 어떤 벌이며, 토종벌이 사라졌다는 말에서의 토종벌은 어떤 벌인가 궁금합니다.

각각의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볼수록빠른치타1
    볼수록빠른치타1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꿀벌이라는 품종 안에서 토종벌이 있습니다. 꿀벌은 지구상에 약 2만 종이 있으며, 그 중 한국에는 약 100여 종이 서식하고 있습니다. 흔히 양봉을 하는 벌은 서양꿀벌입니다. 서양꿀벌은 유럽이 원산지이며 한국에 도입된 지 약 100년이 되었습니다. 서양꿀벌은 한국의 토종꿀벌보다 꿀 생산량도 많기 때문에 양봉에 많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토종벌이 사라졌다는 말에서의 토종벌은 한국의 토종꿀벌을 의미합니다. 한국의 토종꿀벌은 서양꿀벌보다 꿀 생산량이 적기 때문에 양봉에 많이 이용되지 않습니다. 또한 서양꿀벌과 서식지를 경쟁하고 서양꿀벌의 질병에 감염되어 개체수가 감소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꿀벌은 Apis 종류의 벌을 포함하는 일반적인 용어이며, 세계적으로 다양한 종류의 꿀벌이 존재합니다. 그 중에서도 Apis mellifera라는 종류의 벌이 양봉에 가장 널리 사용되는 벌입니다. 이 종류의 꿀벌은 성격이 온화하고 꾸준한 꿀 생산으로 알려져 있어 양봉사들에게 인기가 있습니다.

    토종벌은 특정 지역이나 지리적 환경에 적응하고 생존하는 지역별로 특화된 벌을 가리키는 용어입니다. 토종벌은 특정 지역의 생태계와 조건에 적합하게 진화한 벌로서, 그 지역의 꽃과 식물들과 상호작용하며 꿀 생산과 구비생태계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하지만 양봉업의 확대와 상업적인 목적을 위해 Apis mellifera와 같은 해외 유래의 벌들이 도입되면서, 토종벌의 생태계와 서식지가 위협받고 생존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이러한 이유로 '토종벌이 사라졌다'는 말은 특정 지역에서 토종벌의 수량이나 생태계에 변화가 생겨서 해당 지역의 토종벌들이 감소하거나 사라진 것을 의미합니다.

    각 지역별로 토종벌이 다르며, 토종벌들은 해당 지역의 생태계와 조건에 적합하게 존재하고, 꽃의 수분과 영양원을 공급하고 교배하여 산뜻하고 맛있는 꿀을 생산합니다. 토종벌의 보존은 지역 생태계와 생물다양성을 유지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네, 꿀벌이라는 품종 안에서 토종벌이 있습니다. 흔히 양봉을 하는 벌은 서양벌입니다. 서양벌은 유럽 원산의 꿀벌로, 우리나라에 도입된 지 약 100년이 되었습니다. 서양벌은 꿀 생산량이 많고, 꿀을 채취하기가 쉽기 때문에 양봉에 많이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꿀벌은 유럽꿀벌과 아프리카 꿀벌 등 다양한 종류가 있으며, 주로 꿀과 꽃의 꿀을 채취해 둥지에서 꿀을 만들기 위해 노동을 합니다. 또한, 꿀벌은 꽃에 꿀을 나누어 주면서 꽃의 교배를 도와주는 중요한 역할도 합니다.

    반면, 토종벌은 지역적으로 자생하는 벌을 일컫습니다. 토종벌은 지리적 위치나 기후 조건에 적응한 방식으로 생활하며, 꿀벌보다 더욱 다양한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땅속에서 살면서 유익한 작물을 수확하고, 배설물로 토양을 비료로 만들어주며, 꽃과 식물을 수분 공급을 해주는 등의 다양한 역할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