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름 없이 맑은 하늘은 왜 하늘색인가요?
구름이 없고 해가 쨍쨍할 때 하늘을 보면 하늘색..
전세계 어디서 봐도 구름 없는 하늘은 하늘색..
혹시 극지방에선 하늘색이 아닌가요?
하늘이 어떻게 하늘색이 된건가요?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하늘이 ㅡ색이 하늘색으로 보이는건 빛이 지구로 들어오며 지구의 대기를 만나며 산란되기 때문입니다~ 태양빛은 여러 색깔의 빛이 합쳐져 이루어진 백색광이며 이 빛은 사실 여러 파장의 빛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빨간색에서 보라색까지 다양한 색이 포함하게 되지용 각 색깔은 파장이 다릅니다. 빨간색은 긴 파장을 가지고 있고, 파란색은 짧은 파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지구 대기에는 질소와 산소 같은 작은 분자들이 존재하고 태양빛이 대기에 도달하면, 이 빛은 대기 중의 분자들에 의해 산란됩니다. 짧은 파장을 가진 파란색 빛은 긴 파장을 가진 빨간색 빛보다 더 많이 산란되는데 우린 이를 가지고 레일리 산란이라고 부릅니다~ 파란색 빛이 대기 중에서 많이 산란되기 때문에, 우리가 하늘을 볼 때 모든 방향에서 산란된 파란색 빛이 눈에 들어오게 됩니다. 이로 인해 구름 없는 맑은 날에는 하늘이 파란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 태양이 낮게 위치할 때, 빛은 더 두꺼운 대기를 통과하게 되고, 이로 인해 짧은 파장의 파란색 빛이 더 많이 산란됩니다. 그 결과, 더 긴 파장을 가진 빨간색과 오렌지색이 남아 하늘이 붉게 보이게 되며 고지대에서는 대기의 밀도가 낮아 파란색이 덜 산란될 수 있지만, 여전히 하늘은 파란색으로 보입니다. 우주에서는 대기가 거의 없기 때문에 하늘이 검게 보입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빛을 이루는 여러 색깔들이 대기권에서 산란되면서, 파란색이 가장 잘 산란되게 되고 우리눈에는 파랗게 보인다고 합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