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까칠한호저172
까칠한호저17224.04.06

선거라는 제도의 유래는 무엇인가요?

오늘은 4월10일에 있을 국회의원 선거의 사전투표일입니다. 선거는 민주주의에 있어서 굉장히 큰 비중을 차지하는데 그 유래가 어떻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고대 그리스의 도시국가인 아테네는 시민이 나라의 일을 결정정하는 직접민주제로 운영되었습니다. 그러나 점차 영토가 넓어지고 인구가 많아져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나라를 운영하는 것이 어려워졌습니다. 그래서 국민이 대표자를 선출하여 그들로 하여금 나라의 살림을 대신 맡게 하였습니다. 18세기에 코르시카 공화국이 25세 이상의 모든 시민에게 제한적 보통선거권을 실시한 것을 최초라고 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선거의 유래는 고대 그리스 시대로 거슬러 올라갑니다. 당시 그리스 도시국가들은 추첨이나 제비뽑기 등을 통해 대표자를 선출했으나, 이러한 방식으로는 능력 있는 사람이 선출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았습니다. 이에 따라 클레이스테네스는 500인 평의회 의원을 선발하는 데 추첨 대신 선거제를 도입하였고, 이를 통해 능력 있는 인재들이 공직에 진출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이후 로마 제국에서도 선거제도가 도입되었으며, 중세 유럽에서는 교회와 귀족들이 권력을 독점하면서 선거제도가 크게 약화되었습니다. 하지만 근대 민주주의가 발전하면서 다시 선거제도가 중요시되었고, 오늘날 대부분의 국가에서 선거제도가 실시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선거는 고대 그리스 로마의 도시국가나 게르만 부족 사이에서도 실시되었으나 근대 민주주의가 발달하여 의회제도가 보급됨에 따라 국민의 대표기관인 의회를 구성하기 위한 불가결의 수단으로서 그 중요성을 가지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선거의 유래의 고대 아테네 민주주의와 관련이 있어요. 아테네는 점차 영토가 넓어지고 인구가 많아져 국민이 직접 참여하는 나라를 운영하기 어려워졌습니다. 그래서 국민이 직접 대표자를 선출하여 그들로 하여금 나라의 살림을 대신 맡아 하게 되었습니다. 아테네는 처음 민회에서 제비뽑기로 500인 평의회, 6000명의 민중법원을 구성하였습니다. 다만 장군직은 선출하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