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냉철한메추리159
냉철한메추리159

갑자기 궁금해서 올립니다 앞으로 100년 200년후 인간은 무병장수 할까요?

점점 시대가 변하면서 인간의 평균 수명은 늘고 있습니다 과거 SF영화에서 나오던 것들이 현실이 되고 있습니다 의학도 점점 발전해 나가면서 암도 이제 의술로 정복하지 않을까 싶은데요 앞으로 100년 200년후 세상을 상상해보면 인간이 웬지 죽지 않는 뱀파이어가 되지 않을까 생각해봅니다 인간에 장기가 안 좋아지면 로봇장기나 인공장기 아니면 줄기세포로 배양하여 신선한 장기로 교체하는 세상이 오지 않을까 문득 생각해봅니다 그 시대에는 로봇들이 발전해서 인간의 신체 일부분을 로봇으로 교체하는 영화같은 일들이 현실로 나타나지 않을까 상상해봅니다 왜 과거 영화에서 나왔던 것들이 몇 십년후에 현실이 되었던 것처럼 지금에 영화에서 나왔던 것들이 미래에 현실이 될거같네요 그렇게 된다면 인간은 정말 영원히 죽지 않는 생명체로 살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문득 들고 궁금해지네요 여러분 생각은 어떠신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의학과 생명 공학의 발전은 이미 수명 연장과 질병 관리의 가능성을 크게 향상시켰습니다. 특히, 줄기세포 연구(stem cell research), 유전자 편집(genetic editing), 인공 장기(artificial organs)의 개발 및 기타 관련 기술은 앞으로 수십 년, 수백 년 후의 의료 방법에 혁명을 일으킬 잠재력을 지니고 있습니다.
    줄기세포 연구와 재생 의학(regenerative medicine)은 손상된 조직이나 기관을 복원하거나 대체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함으로써, 나이가 들어가면서 발생하는 많은 질병을 치료하고, 기능을 회복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또한, CRISPR과 같은 유전자 편집 기술은 유전적 결함을 수정하고, 특정 질병에 대한 저항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을 제공합니다. 이러한 기술의 발전은 인간의 수명을 연장하고 질병을 예방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바이오프린팅(bioprinting)과 인공 장기 기술은 신체의 손상된 부분을 대체할 수 있는 인공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장기 기증의 필요성을 줄이고, 수명 연장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이 기술들은 점차 ㅂ라전하여, 더 복잡하고 기능적인 장기를 제작할 수 있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이러한 과학적 발전에도 불구하고, 실제로 인간이 '무병장수'하는 시대가 도래할지는 미지수입니다. 생물학적, 환경적, 윤리적 한계들이 여전히 존재하며, 이러한 한계들을 어떻게 극복하느냐가 중요한 과제로 남아 있습니다. 또한, 인간의 생명을 무한히 연장하는 것에 대한 윤리적, 사회적, 경제적 영향 또한 심도 깊게 고려되어야 합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앞으로 100년, 200년 후에는 의학과 기술의 발전으로 무병장수에 가까워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인공 장기, 줄기세포 치료, 유전자 편집 기술 등이 발전하면서 건강한 삶을 유지하는 데 도움을 줄 수 있긴한데 영원히 죽지 않는 생명체가 되는 것은 여러 윤리적, 사회적 문제를 동반할테고 완전히 해결되기는 어려울 것같네요. 과거의 상상이 현실이 된 것처럼, 현재의 상상도 미래에 다가올 수 있지만, 생명의 본질적인 한계는 여전히 존재할 것에요.

  • 미래에 인간이 무병장수할 가능성은 의학의 발전과 기술의 통합에 달려 있지만, 완전한 '불사'는 현실적으로 여전히 어려운 목표일 것입니다. 앞으로 100년에서 200년 후에는 평균 수명이 더 연장되고, 여러 질병이 정복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인공장기, 로봇 보조 장비, 줄기세포를 이용한 장기 배양 등은 현실적인 발전 방향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생물학적 한계와 노화 과정은 단순히 장기 교체만으로 해결되지 않는 복잡한 문제입니다. 노화를 억제하거나 지연하는 기술이 어느 정도 발전한다면 수명은 상당히 연장될 수 있겠지만, 영원한 생명은 여전히 여러 윤리적, 기술적 도전 과제가 남아 있는 영역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이론적으는 가능합니다. 지금도 노화를 멈추는 텔로미어에 대해 활발하게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다만, 상용화은 언제일지 아무도 모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