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정치인 덩샤오핑의 평가가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최근 중국 관련 책과 블로그 글을 많이 보는데 현재의 중국이 G2 국가로 성장하게 된 배경에는 덩샤오핑이라는 인물이 있었다는 이야기가 많더군요. 실제 중국이나 다른 사람들은 덩샤오핑을 어떻게 평가하나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덩샤오핑의 1979년에서부터 1994년의 개혁은 어디에서도 볼 수 없는 인류 복지 향상의 가장 큰 향상을 가져왔다고 말했습니다.
언급한 것과 같이 덩샤오핑의 정책은 공산주의 틀안에서 외국 자본에 경제를 개방하였고 시장을 개방하였습니다.
이것이 가장 큰 업적이 아닐까 생각됩니다.
어떻게 보면 실용주의를 따른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덩샤오핑은 마오쩌둥 시기 대역진운동과 문화대혁명의 실패 등으로 휘청거린 중국을 개혁, 개방 체제로 돌려 사회주의 실현에 필요한 생산력을 확보할 새로운 성장의 길을 이끈 지도자라는 긍정적인 평가과 천안문 사태로 대표되는 중국 내 자유, 민주주의 운동과 내부 불평등, 사회적 모순 개혁을 요구하는 목소리를 짓밟은 탄압자라는 부정적 평가가 공존합니다.
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등소평의 위대한 점은 그가 개인숭배를 철폐한 동시에 권력에 연연하지 않고 적시기에 은퇴를 선택했다는 것이며, 그것이 그가 오늘까지도 후세들의 칭양을 받고 있고 중국인들 사이에서 미담으로 전해지고 있는 이유입니다. 등소평은 사회주의권에서 권세욕에 집착하지 않고 급류용퇴를 한 위대한 지도자이며, 이 또한 그가 나라를 창건한 ‘국부’ 모택동에 비해 더욱 중국인들의 사랑을 받는 이유이자 원인이라 합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작은 거인이라고 불리며 긍정적인 평가를 받고 있는 덩샤오핑의 개혁개방 정책은 그의 사후 장쩌민이 계승해 중국은 연평균 8%의 성장을 계속 했고, 세계에서 가장 높은 1인당 국민소득 성장률을 기록했습니다. 빈부 격차 문제등이 해소되지는 못하고 여러 가지 문제점들이 노출되고 있기는 하지만, 등소평 이전과 이후의 중국은 전혀 다른 국가라고 봐야 하는데 이전의 모택동 시대의 중국이 지금의 북한 이였다면 등소평이 중국의 현대화를 시작했기에 오늘날의 경제대국 중국이 만들어지고 있는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중국은 1979년 중외합자경영기업법을 통해 외국의 자본과 기술을 받아들여 사회주의적 실용주의를 주구하여 자본주의적 요소를 받아들인 덩샤오핑의 사상으로 오늘날 G2가 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했다고 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