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의 속도단위는 왜 딱 떨어지지 않게 정의를 한건가요?
빛의 속도는 약30만키로이지 정확하게는 그 밑으로 여러단위가 있는것으로 아는데요
그렇다면 초기에 빛의 속도를 30만키로나 20만키로등으로 정의를 하고 속도개념을 세우면 됬을텐데 왜 딱떨머지지 않는 단위로 정의를 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속도는 진공에서 빛이 이동하는 속도를 의미하며, 정확히는 초당 299,792,458미터입니다. 이 값은 빛의 속도를 측정하는 과학 기술의 발전에 따라 점점 더 정밀하게 측정되었고, 현재는 국제단위계(SI)의 기본 단위를 정의하는 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만약 빛의 속도를 30만km나 20만km처럼 딱 떨어지는 값으로 정의했다면, 과학 기술 발전에 따라 빛의 속도가 실제로는 그 값보다 더 크거나 작다는 것을 발견했을 때, 과학계 전체에 엄청난 혼란을 야기했을 것입니다. 또한, 빛의 속도는 우주의 근본적인 상수로서, 다른 많은 물리 법칙과 상호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빛의 속도의 정의가 바뀌면 다른 물리 법칙도 모두 수정해야 하는 어려움이 발생했을 것입니다.
따라서 빛의 속도는 측정 결과에 기반하여 정확한 값으로 정의하는 것이 과학적으로 훨씬 더 합리적이고 효율적입니다.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속도를 측정할 때 정확하게 물리적 상수로서 측정하는 이유는
과학에서 정밀도와 정확성이 중요하기 때문입니다
초기에 빛의 속도에 대한 추정치가 있었지만 정밀한 실험과 측정을
통해 더 정확한 값이 도출되었습니다
빛의 속도는 공기 중에서 대략 초당 299792458미터로 측정됩니다
이 값은 거리와 시간을 측정함에 있어서 물질의 기본 성질과 관련된
중요한 상수로서 사용됩니다
과학계는 재현 가능하며 정확한 데이터에 기반을 둔 측정치에
큰 가치를 두기 때문에 이러한 수치를 사용합니다
따라서 간단하고 기억하기 쉬운 수치를 사용하는 것보다
더 정확한 값을 사용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더욱이, 1983년 국제단위계(SI)는 빛의 속도를 고정된 값으로
정의하여 길이 단위인 미터의 정의를 근거로 삼았습니다
이것은 길이와 시간의 단위를 물리적 상수에 연결시킴으로써
측정과 기준을 표준화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따라서 빛의 속도가 소수점 아래 여러 단위로 정의되는 것은
과학적 측정의 정밀도를 반영합니다
이렇게 정의된 값을 통해 과학적 연구와 기술적 응용에서
필요한 일관성을 제공하는 것입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의 속도는 물리 상수로서 정확한 값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 값이 왜 299,792,458 미터/초로 정확히 정해졌는지 궁금하시죠? 이는 단위 체계와 관련이 있습니다.
단위 체계의 선택: 빛의 속도는 단위 체계에 따라 다르게 표현됩니다. 예를 들어, 미터를 길이 단위로 사용하고 초를 시간 단위로 사용하는 경우 빛의 속도는 299,792,458 미터/초입니다.
그러나 마일을 길이 단위로 사용하고 시간을 시간 단위로 사용하는 경우 빛의 속도는 약 670,616,629 mph입니다.
자연 단위: 물리학자들은 자연 단위라는 단위 체계를 정의했습니다. 이 단위 체계에서 빛의 속도는 정확히 1로 정의됩니다. 이 선택은 빛의 기본적인 물리적 특성과 관련이 있어 더 자연스러운 값을 제공합니다.
결론적으로, 빛의 속도가 정확한 값으로 정해진 것은 단위 체계의 선택과 관련이 있으며, 자연 단위를 사용하면 더 의미 있는 값으로 표현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