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경제용어 이미지
경제용어경제
희망은좋은것이죠
희망은좋은것이죠22.12.24

경제용어 GDP의 뜻을 정확하게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GDP의 뜻을 알고 싶습니다. GDP는 한국말로 무엇일가요?? 경제초보인데 GDP 용어의 정확한 의미를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총생산량이라고 하며, 일정 기간 동안 한 나라 국경 내에서 생산된 모든 최종 재화와 서비스의 시장가치를 합한 것입니다. GDP는 일반적으로 해당 국가의 통화를 사용하여 화폐 단위로 표시됩니다. GDP만으로는 한 국가의 경제적 성과나 시민의 복지에 대한 완전한 그림을 제공할 수 없다는 점에 유의해야 하지만 여러 국가의 경제적 산출물을 비교하는 데 자주 사용됩니다. 국민총생산(GNP) 및 국내총소득(GDI)과 같은 다른 척도를 사용하여 국가의 경제 생산량과 성과를 평가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DP는 Gross Domestic Product의 약자로 번역하다면 국내총생산 입니다.

    국내총생산은 1년동안 한 국가에서 생산된 재화와 용역의 시장 가치를 합한 것을 의미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GDP는 국내총생산을 의미합니다. 국적을 가리지않고 우리나라에서 발생한 모든 생산물을 포함하며 경제성장률을 분석할때 필요하는 지표중에 하나입니다.


  • 안녕하세요. 오승룡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GDP)은 한 나라의 영역 내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 동안 생산한 재화 및 서비스의 부가가치1)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여 합산한 것으로 여기에는 비거주자가 제공한 노동, 자본 등 생산요소에 의하여 창출된 것도 포함되어 있다.


    GDP는 당해연도 및 기준년도 중 어느 해의 시장가격을 이용하여 생산액을 평가하느냐에 따라 명목 및 실질GDP로 구분된다.


    명목GDP는 생산액을 당해년도 시장가격으로 평가한 것으로 물가상승분이 반영된 것이고 실질GDP는 생산량에 기준년도의 시장가격을 곱해서 계산하므로 가격 변동은 제거되고 생산량 변동만을 반영하게 된다.


    이와 같이 GDP를 명목과 실질로 구분하여 추계하는 것은 각각의 용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국민경제의 전체적인 규모나 구조변동 등을 분석하고자 할 때에는 명목계열을 사용하며 경제성장, 경기변동 등 국민경제의 실질적인 생산활동 동향 등을 알아보기 위해서는 실질계열을 이용한다.


    한편, 경제성장률(Economic growth rate)이란 일정기간 동안 각 경제활동 부문이 만들어낸 부가가치가 전년에 비하여 얼마나 증가하였는가를 보기 위한 지표로서 한 나라의 경제 성과를 측정하는 중요한 척도이며 실질GDP의 증감률로 나타낸다.


    현재 한국 GDP 통계는 UN이 각국에 권고한 국제기준인 국민계정체계(SNA : System of National Accounts)에 따라 한국은행에 의해 작성되어 분기별로 공표되고 있다.


    - 네이버 지식인 -


    근데 이렇게만 보면 좀 어렵죠?

    간단하게는 한국인의 위치와 관계없이 그냥 번 거 전부다 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GDP란 국내총생산을 의미하는 단어이며, 외국인이든 우리나라 사람이든 국적과 관계없이 우리나라 국경 내에서 생산활동을 하여 발생하는 모든 부가가치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입니다. 이 GDP는 우리나라는 물론 전 세계 대부분의 국가의 생활 수준이나 경제성장률을 분석할 때 사용되는 지표로 활용되게 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좋겠습니다. 좋은 하루 되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24

    안녕하세요. 이정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국내총생산(Gross Domestic Product, GDP)은 한 나라의 영역 내에서 가계, 기업, 정부 등 모든 경제주체가 일정기간 동안 생산한 재화 및 서비스의 부가가치를 시장가격으로 평가하여 합산한 것으로 여기에는 비거주자가 제공한 노동, 자본 등 생산요소에 의하여 창출된 것도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