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소의 농도변화 재흡수요소 관련 질문
요소의 농도가 오줌생성과정에서 변하는 이유가 포도당과 아미노산 등이 세뇨관으로 여과되었다가 다시 재흡수되기 때문이라고 써도 맞는 말인가요?? 꼭 물의 재흡수만 맞나요?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오줌 생성 과정에서 요소의 농도가 변하는 이유는 주로 물의 재흡수 때문입니다. 물이 재흡수되면서 세뇨관 내 요소의 농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져 확산을 통해 일부가 재흡수됩니다.
포도당과 아미노산은 여과 후 거의 100% 재흡수되지만, 이들의 재흡수가 요소 농도 변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요소의 농도가 소변 생성 과정에서 변하는 이유는 주로 신장의 여러 기능에 의해 결정되는데, 이는 물의 재흡수와 함께 다른 물질들의 재흡수 및 분비 과정에도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요소 농도 변화는 단순히 물의 재흡수에만 기인하는 것이 아니라, 요소 자체의 재흡수 및 분비 과정에도 관련이 있습니다.
신장의 사구체에서는 혈액이 여과(Filtration)되면서 혈액 중의 작은 분자와 물, 전해질, 포도당, 아미노산 및 요소와 같은 낮은 분자량의 물질이 사구체 여과액으로 이동합니다. 이 때 대부분의 물과 필요한 물질들(ex : 포도당, 아미노산)은 높은 농도에서 다시 재흡수됩니다.
사구체에서 여과된 액체는 세뇨관을 통해 이동하면서 대부분의 물, 전해질, 포도당, 아미노산이 재흡수(Reabsorption)됩니다. 특히 초기 세뇨관(사구체 주변 세뇨관, 근위 세뇨관)에서 이러한 재흡수가 활발히 이루어집니다. 포도당과 아미노산은 거의 완전히 재흡수되므로, 정상적인 상황에서는 소변에 포함되지 않습니다.
요소는 세뇨관을 통과하면서 일부가 재흡수되고, 일부는 그대로 배출됩니다. 요소의 재흡수는 주로 근위 세뇨관과 사구체 주변 세뇨관에서 이루어지며, 이 과정은 농도 경사에 따라 수동적으로 일어납니다. 재흡수되지 않은 요소는 소변으로 뱇루되어 소변의 요소 농도를 결정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