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생활

자동차

단정한원숭이67
단정한원숭이67

자동차 시동후 예열 행ᆢ 하나요?

안녕하세요.

자동차 시동키고 예열 해야 하나요?

사람들마다 해야한다는 사람도 있고 휘발유차는 안해도 된다고 하는 사람도 있고 진실이 뭔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호리호리한불곰386
    호리호리한불곰386

    안녕하세요. 해랑사선지장진성서입니다.

    자동차 주행전에는 무조건 해주는게 좋습니다.

    특히 겨울철에는 무조건 해주는게 좋습니다. 겨울철 처음 시동을 걸면 rpm이 엄청 높게 올라가는 경우가 많은데

    그때는 예열을 해주고 엔지인 안정될때까자 800rpm~1000rpm 까지 예열을하고 주행해주세요

  • 안녕하세요. 초록 지빠귀192입니다. 경유차의 경우 겨울철에는 예열을 하는게 좋고 휘발유차도 1분정도 해주는게 좋습니다. 후열의 경우 터보엔진의 경우에는 하는게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건장한생쥐270입니다.

    없어진 것은 후열( 주행 완료 후 엔진냉각을 위한 공회전)이고 전열(주행하기전 엔진공회전) 같은 경우는 권장사항입니다. 특히 경유차의 경우에는 여름 1~2분 이상 , 겨울철 3~4분 이상을 권장드리나 아파트 등 지하주차장이 대중화되면서 운행시 주행도로까지 나오는 길을 저속주행 하기 때문에 이 시간을 전열로 대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전열은 엔진 및 부속품 수명 및 마모에 유의미한 관계가 있기 때문에 적당한 선에서 해주시는 것도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모두의 다락방입니다.


    옛~~~날 차는 예열을 해야했었는데요

    지금 차들은 그럴 필요가 없습니다

    괜히 연료만 소비하고 환경오염만 시키는겁니다~

  • 안녕하세요. 검소하고 계획적인 1879입니다.

    요즘은 차가잘나오고해서 별도로 예열을하지 않구요

    다만 시동거시고 초반에 서서히주행하셔서 엔진에 무리가 가지않게만 하셔도 예열안하셔도됩니다

  • 안녕하세요. 세상을배우는사람입니다.


    겨울철에는 배터리 충전을 위해 시동을 걸어놓고


    예열하는데 시간을 주고 출발 하는 것이 좋습니다.


    운동하기전에 부상 위험을 방지하기 위해 몸풀기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