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단정한낙지284
단정한낙지284

팔렌스타인과 이스라엘 사이의 역사는 어떻게 되나요?

이스라엘과 팔렌스타인은 오랜기간 갈등을 겪고 있는 것 같은데요.

그 갈등에 비해서 국제사회의 관심은 적은것 같습니다. 이 두 나라간의 역사는 어떻고 왜 국제적 보호를 받지 못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 굉장한비오리121
      굉장한비오리121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스라엘 역사의미의 현대사회 적용여부

      아시다시피, 이스라엘은 로마 시대때 망했고, 그 지역에 아랍 사람(현재의 팔레스타인 사람)이 들어왔습니다.

      그런데, 거기에 나라가 세워져 있었느냐.. 이스라엘은 당시에 로마 제국의 식민지였죠..

      그러니 이스라엘이 망해도 그 땅은 로마의 식민지인 것입니다. 그 후로 오스만 투르크 제국에 들어가고,

      결국은 독립을 한 것이 지금의 팔레스타인 입니다.

      그리고, 이스라엘이 팔레스타인이 힘으로 뺏었다라.. 표면적으로 볼 때는 맞지만,

      '발해가 우리땅이니 내노으라' 와고는 조금 다릅니다.

      우리는 그래도 조국이라는 것이 있지만, 유대인들은 자신의 조국에서 쫓겨나 2000년 동안이나 떠돌아다녔다

      는 말이죠..

      일제 시대때의 한국인하고 비슷합니다.

      조국이 사라졌는데, 다시 세우려고 하는 것은 어느 누구나 똑같지 않겠습니까...

      그래서 결국은 조국을 재건했지만요..

      아무튼, 유대인 입장에서는 조국 재건이지만 팔레스타인 입장에서는 도둑놈, 수탈자, 망할놈 정도가

      되겠군요..

      이렇듯 이스라엘의 역사의 의미는 현대사회에 혼란스럽고 복잡미묘한 상황을 적용시키고 있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태인들은 세계 각지에 흩어져 있었는데 시오니즘(젖과 꿀이 흐르는 땅으로 되돌아가자는 운동)으로 팔레스타인들이 살고 있는 가자지구에서 팔레스타인들을 쫓이내고 이스라엘을 건설하게 됩니다. 여기에서부터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 사이에는 전쟁과 협상이 무한 반복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현행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스라엘은 오랫동안 나라없이 각국에 흩어져 살아온 민족입니다. 현재 이스라엘의 땅은 팔레스타인인이 살아왔던 곳입니다. 문제는 2차대전에 영국이 이스라엘과 팔레스타인의 지지와 지원을 얻고자 양쪽에 독립을 약속한 데서 출발했습니다. 영국은 팔레스타인과의 약속은 지키지않고 이스라엘이 결국 건국됩니다. 이에 팔레스타인의 저항과 독립 요구가 계속되어 온 것입니다.

      중동은 대체로 이슬람이지만 이스라엘만 범기독교이기에 서방 국가들은 이스라엘을 지원해왔으며 이러하기에 이슬람 국가들은 미국을 정치적으로 적으로 여겨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