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천주교는 정약용에 대해서 어떻게 영향을 끼쳤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약용은 유교적 전통 속에서 천주교을 접하고 박해받았지만, 그의 학문과 사상은 종교와 철학의 경계를 어떻게 넘나들며 새로운 지식체계를 형성하였는지 알고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정약용은 유교적 전통 속에서도 서학을 접하고 천주교를 신앙으로 수용하였습니다. 정약용은 1784년 23세 때 이벽, 이승훈 등과 교류하며 천주교에 관심을 가졌습니다. 세례명은 요한으로 세례를 받았습니다. 1787년 무렵까지는 비교적 열성적으로 신앙생활을 하였으나 1791년 신해박해 이후 유교적 질서와 충돌하는 천주교 교리에 대해 비판적 태도를 보였습니다. 그리고 1801년 신유박해 때 배교를 선언하였습니다.
그러나 천주교의 인간 평등, 사회 개혁 사상, 합리적 세계관 등의 개념에서 정약용의 실학적 개혁 사상에 자극을 주었습니다. 정약용은 천주교의 서구적 합리성과 인본주의, 그리고 유교의 전통적 도덕관을 융합해 사회 구원과 왕도 정치 실현을 지향하는 실학적 집대성하였습니다.
젊은 시절 천주교를 신앙으로 받아들였지만 유교적 가치관의 충돌 등으로 점차 거리를 두었지만 천주교의 평등, 합리, 개혁 사상은 그의 실학과 사회 개혁 이론에 중요한 영향을 남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