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주식·가상화폐

로맨틱한발발이142
로맨틱한발발이142

공매도 금지는 일반 투자자들만 반기는 제도인가요?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있는 공매도 제도가 지금 한시적으로 막혀있는데, 일반투자자인 개미들이 좋아했잖아요.

혹시 기업이나 기관 등에서도 현재 공매도 제도 금지를 반기고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9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 공매도를 치는 기관들은 전혀 반기지 않고 공매도에 묶인 자금에 대한 비용만 증가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 지금과 같이 지수가 2,700을 돌파한 상황에서 공매도가 재개되면 기다렸다는 듯이 뛰어들 기관들이 많습니다.

    • 물론 공매도를 하지 않는 기관 입장에서는 지금과 같은 상황이 더 좋을 것입니다

    • 개인적으로는 공매도 금지의 단점 보다는 장점이 큰 것으로 생각 됩니다.

      외국인 투자자들도 공매도가 사라지면 투자를 안할 것처럼 했지만 현실은 전보다 훨씬 더 늘어난 상황입니다.

    감사합니다.

  • 공매도는 주식 가격 하락을 예상할 때 주식을 빌려서 선매한 후 나중에 갚는 투자 방법입니다. 이 기법은 주가 하락 시 수익을 얻을 수 있어 주로 기관이나 외국인 투자자에게 선호됩니다.

    2023년 5월부터 6월까지 대한민국에서는 코로나19로 인한 주식시장 불안을 해소하기 위해 공매도가 일시적으로 금지되었습니다.

    개인 투자자들은 보통 공매도를 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러한 금지 조치를 지지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그러나 기업이나 기관은 공매도를 통해 수익을 창출할 수 있어 이러한 조치에 반대할 수 있습니다.

    공매도가 항상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닙니다. 이는 주식시장의 유동성을 높이고 거품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기관이나 외국인 등은 코스피 등이 박스권에 갇혀 있고, 기업 가치 대비 주가가 과도하게 올랐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공매도 투자를 많이 합니다.

    다만, 문제가 되는 것은 무차입 공매도이므로, 정부에서도 이를 바로잡기 위해 여러 조치를 취하려고 하고 있습니다

  • ✅️ 솔직히 주요 기관이나 외국인들은 공매도를 통해 돈을 벌기가 용이한 '이득을 보는 주체'라서 공매도 금지를 반기지 않으며, 이렇기 때문에 개인 투자자들 입장에서 계속 공매도 제도를 형평성에 맞게 개선하라고 요구하고 있는 것이 됩니다.

  • 대체로 좋아한다 정도지 절대적이진 않습니다.

    왜냐하면 개인이라고 매수만 치지는 않았을 것이고, 기관이라고 공매도만 치지는 않았을 것이기 때문입니다.

    오히려 공매도를 주 전략으로 삼는 개미는 공매도 금지 정책을 반대할 테고, 주구장창 매수만 하고 공매도는 손 끝 하나 댄 적이 없는 기관이라면 공매도 정책을 환영하겠지요.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이상으로 답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본인이 경험 또는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직접 작성한 정보글로, 단순 착오나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 공매도와 같은 경우에는 주식시장에서 꼭 필요한 제도이기에 이에 따라서 기관 등에서는 반발도 있는 경우가 많으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기업과 기관에서는 입장이 다를 수있습니다 .

    공매도의 대상이 될수있는 기업의 입장에서는 아무래도 공매도 제도가 기업 주가를 끌어내리는 수단으로 쓰이기 때문에 선호하지 않을것입니다.

    기관투자자의 입장에서는 상방, 하방 모두 투자의 수단이 있는 것이 좋기때문에 공매도라는 하방 투자방법이 열려있는 것을 선호할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공매도란 사람들이 주식을 빌려서 팔고, 나중에 주식 가격이 떨어지면 싸게 사서 갚는 방법입니다. 이 방법을 쓰면 주식 가격이 너무 높게 올라가는 걸 막을 수 있습니다. 그래서 큰 회사 투자 기관들이 공매도 시장에서 좋은 역할을 한다고 보지만 주식 가격이 내려가면 손해 보는 일반 사람들은 공매도가 없는 게 좋다고 생각 할 수 있습니다.

  • 공매도는 기관에서 수익을 얻기에 좋은 제도였고, 개인(개미)들에게는 굉장히 불리한 제도였습니다. 따라서 기관의 공식적인 입장은 알 수는 없으나 공매도 금지를 반기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