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빅테크들의 투자방향과 그로인해 얻을 수 있는 아이디어가 궁금
글로벌 빅테크들이 AI, 로봇, 자율주행 등 신기술에 집중하면서 다양한 분야에 투자기회가 샘솟고 있습니다. 최근 핫한건 아무래도 전기를 많이 쓰다보니 전력쪽이 메가 트랜드였는데 다음 후보와 근거 등이 궁금하고 국내산업 및 기업도 추천부탁드립니다.

질문하신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의 투자에 대한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전력 트랜드 이후로 다시 주목받게 될 산업군은 아무래도 AI 기반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그렇기에 이에 관련된 칩셋을 만드는 회사와
필요한 고성능 반도체를 만드는 회사들에 대한 전망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한국에서는 관련기업으로 삼성과 SK하이닉스 등이 있습니다.
전력 분야가 메가 트랜드였던 것은 맞지만, 현재 미래 기술 트렌드로는 친환경 에너지, 블록체인 기술, 사물인터넷(IoT), 사물인공지능(IoT) 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친환경 에너지는 탄소 배출을 줄이고 지속가능한 에너지 소스에 대한 수요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국내에서는 친환경 에너지 기업인 한화솔루션, 블록체인 기술 기업인 블록체인OS, 사물인터넷 기업인 네오위즈 등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현재 글로벌 IT 시장의 대세는 두말할 것 없이 바로 '인공지능'(AI)이다. 오픈AI의 챗GPT가 불러일으킨 작은 불꽃은 멈출 줄 모르는 거센 산불과 같이 스타트업 영역을 넘어 빅테크 기업의 투자 방향성에도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
글로벌 시장조사기업 피치북에 따르면 지난해 미국 내 AI 스타트업에 대한 투자는 약 700건, 투자액은 전년 대비 260% 이상 폭증한 291억달러(약 39조3810억원)로 각각 집계됐다.
주목할만한 점은 투자 자금 대부분이 벤처캐피털(VC)가 아닌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메타 등 이른바 '빅테크' 기업에서 나왔다는 점이다. 지난해 미국 뉴욕증시 상승을 주도한 이들 빅테크의 AI 투자 규모는 2022년의 44억달러(약 6조원)에서 지난해 246억달러(약 33조원)로 5배가량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빅테크의 투자 방향성에 가장 큰 영향을 준 기업은 바로 '마이크로소프트'(MS)다. 지난 2019년, 오픈AI에 10억달러(약 1조3531억원)를 투자한 MS는 이후 투자 규모를 약 130억달러(약 17조5903억원)까지 늘리며 챗GPT 출시와 함께 세계에서 가장 가치 있는 기업 자리를 다시금 꿰찼다. 이에 따른 국내기업으로는 SK하이닉스, 삼성전자 등이다.
빅테크 기업들의 경우 현재 AI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이고 있는데 자율주행도 사실상 이 폭이 넓은 AI안에 속한다고 해도 되요. 그렇기 때문에 주 관심사는 AI반도체에 대한 산업 집중과 더불어 AI반도체가 사용되는 경우 기존 반도체의 열량소모나 전력효율로는 이를 감당할 수 없기 때문에 새로운 대체제인 유리기판등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