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경에 나오는 젖과 꿀이 흐르는게 무슨뜻인가요?
성경에보면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는 이야기가 있던데 어떤의미인가요?? 실제로 젖과꿀이 흐른다는건가요 아니면 비유적인 표현인가요??
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서에서 가나안 땅(출 3:8; 렘 11:5)을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젖’은 ‘우유’ 곧 풍부한 목축을, ‘꿀’은 풍요로운 식물 곧 농업을 의미한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의 의미는 축복의 땅으로 표현되는 비유적 표현일 뿐 아니라, 저주의 의미로 사용되거나, 가나안의 땅을 의미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약속의 땅 가나안을 일컫는 관용적 표현(출3:8; 렘11:5). '젖'은 '우유' 곧 풍부한 목축을, '꿀'은 풍요로운 식물 곧 농업을 의미한다. 따라서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은 풍성한 목초지 위에서 수많은 소 떼와 양 떼가 젖을 내고, 오곡백과와 화초가 만발하여 벌들이 꿀을 풍부히 생산하는 풍요로움을 암시한다. 특히 이 말은, 가나안 복지(福地)를 일컫는 말로서 하나님이 약속하신 가나안의 넘치는 번영과 충만한 복을 상징한다(레20:24; 민14:8; 신27:3). → '가나안(땅)'을 보라.
출처 : 교회용어사전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젖과 꿀이 흐른다는 것은 실제로 젖과 꿀이 흐른다기 보다는 비옥한 농지를 의미하며 약속의 땅인 가나안과 관련된 여러 가지 표현 중 가장 대표적인 것은 "젖과 꿀이 흐르는 땅"이 되기는 것 입니다. 이 표현은 성서 전체에서 20회 정도 사용이 되었는데, 모세 오경에서 15회, 그리고 다른 부분에서 5회 사용되었다. "젖"과 "꿀"을 근동 지방의 신화와 연결시켜 신의 특별 선물(special gifts of god)이나 신의 기호 식품들(favorite diet of gods)로 해석하려는 학자들도 있었지만 그동안 일관되게 "젖과 꿀이 흐르는 가나안 땅"이라는 표현은 땅의 비옥함을 함축적으로 나타난 것으로서, 가나안 땅을 다소 과장시켜 생산성이 넘치는 땅으로 나타난 독특한 표현이라고 해석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