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고체 배터리 같은 경우에는 주로 어떤 것으로 제조를 하는가요
현재 배터리는 보통 니켈이나 코발트 그리고 망간으로 주로 많이 제조하는
것으로 알고 있는데요 그런데 전고체 배터리 같은 경우에는 주로 어떤
재료를 사용하는지 궁금하네요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전고체 배터리는 액체 전해질 대신 고체 전해질을 사용하는 것이 특징으로 황화물계 고분자계 재료가 주로 쓰입니다 양극은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처럼 니켈 코발트 망간 계열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으며 음극은 흑연 대신 리튬 금속이나 실리콘계 합금이 많이 연구됩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한만전 전문가입니다.
전고체 배터리는 전해액이 액체가 아니고 고체로 되어 있는 배터리를 말합니다.
양극제는 리튬-코발트 산화물,니켈-코발트-망간 산화물등
양극제는 금속리튬,규소복합체 등
전해질은 고체로 세라믹,유황화물,고분자화합물등으로 이루어 집니다.
전해질이 고체이므로 분리막은 대체로 불필요 합니다.
전고체 배터리는 전해질이 액체인 배터리에 비하여 안전성, 에너지밀도, 수명, 온도안정성등이 뛰어납니다.
하지만 이온전도도와 제조비용이 높은 단점이있고 또한 균일한 고체층 형성이 어려운점은 현재로써 양산 기술의 한계점으로 나타나고 있어 대량생산이 어려운점이 최대의 단점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찬우 전문가입니다.
전고체 배터리는 배터리 업계의 게임체인저로 내부의 전해질이 고체로 만들어지게될 차세대 배터리 입니다.
음극과 양극은 기존 리튬이온 배터리와 유사합니다. 니켈, 코발트, 망간 등이 주로 사용됩니다.
전해질의 경우가 기존 리튬과 다릅니다.
하나의 물질이 아니라 황화물계 라고 하여 리튬, 할로겐화물계 등을 섞어 만들수도 있고 산화물계라고 하여 리튬, 란탄, 지르코늄 등을 섞어 만들어지기도 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립니다~! 더 궁금한게 있으시면 언제든지 문의 주십시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