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똥을 처음 샀습니다! 걱정되어 질문 드립니다!
현재 46세 남성
정기 점진으로
대장 및 위내시경 18년 8월 실시 :용종제거
가끔씩 복부가 땡기는 현상때문에
상,하복부 초음파 실시 : 특이사항 없음
가끔씩 변을 보고 딲을때 빨간색 피가 묻어 나왔는데
오늘 처음으로 빨간색 피가썪인 변을 봤습니다.
담배는 5년째 금연중, 음주는 주3호 소주 한병 입니다
어제도 소주먹었구요.
걱정되서 문의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성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혈변의원인에는 대장암 .용종.대장염. 허혈성 장질환, 이질, 혈관 이형성, 게실증. 직장암, 직장 용종. 치질, 치열, 치루, 항문열상등 이있습니다 .정확한 진단을위해 내과나 항문외과진료를 보시고 대장내시경 검사를 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대장 용종 제거시에도 3년경과시 대장내시경 다시 받아보시는것을 권유합니다.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가끔씩 변을 보고 닦을 때 피가 묻어나오신 적이 있는 것으로 보아 오늘 본 피가 섞인 변이 위장관출혈에 의한 것 보다는 항문 치핵 등의 질환에 의해서 발생하였을 가능성이 더 높아 보입니다. 우선 항문외과에 방문하시어 특별한 이상이 없는지 확인 하시고, 만약 특별한 이상이 없다면 장출혈 관련하여 소화기내과 진료를 받아보시길 권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동주 한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술을 많이 마시게 되면 우리 점막이 파괴됩니다 점막이 팔게 되면 피가 나오게 되고 이것이 변으로 나오면 피똥이 싸게 됩니다 양이 많지 않다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지만 계속 출혈이 일어난다면 내 거 만료 내과 진료 받으십시오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변에 피가 묻어나오는 혈변의 경우 가장 흔한 원인이 치질(치핵)입니다. 하지만 치핵이 원인이 아닐 경우 직장암, 크론병, 궤양성 대장염 등 여러가지 질환에서 혈변이 주증상이 될 수 있습니다. 정확하게는 외과나 내과에 가셔서 원인을 확인하는 검사를 해보시는 것이 좋습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혈변은 대부분 변비로 인하여 대변이 나오는 과정에서 항문이 찢어져서 나오는 경우가 가장 흔합니다. 하지만 다음과 같은 질병에서도 혈변이 나오기 때문에 지속적으로 혈변이 나온다면 가까운 병원 방문 후 검사 받아보는 것이 필요합니다.
혈변의 원인에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다.
1) 대장 질환: 대장암, 대장 용종, 궤양성 대장염, 허혈성 장질환, 이질, 혈관 이형성, 게실증
2) 직장 질환: 직장암, 직장 용종
3) 항문 질환: 치질(치핵), 치열, 치루, 항문열상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보통은 치질이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나 다른 대장질환이 있을수 있습니다.
보다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해서 가까운 의원 혹은 병원 내원하셔서 전문의의 문진, 신체진찰 및 추가 영상학적 정밀검사를 해보시길 권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승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위장관 출혈은 식도와 위, 소장, 대장 등의 점막이 손상되어 혈관이 노출되어 발생하는 출혈을 의미합니다. 위장관 출혈은 식도, 위, 십이지장에서 발생하는 상부 위장관 출혈과, 소장과 대장에서 발생하는 하부 위장관 출혈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상부 위장관 출혈의 원인 중에는 소화성 궤양이 50% 정도로 가장 많습니다. 그 밖에 식도 정맥류, 스트레스성 궤양, 미란성 위염 등의 급성 위점막 병변, 위암 등이 있습니다. 최근 조사 결과에 따르면, 상부 위장관 출혈의 원인 중에서 소화성 궤양은 점차 줄고, 식도 정맥류 출혈은 점차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음주 후에 처음에는 음식물만 토하다가 나중에 피를 토하는 경우에는 위점막 열상에 의한 출혈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또한 식도 정맥류에 의한 출혈이 나타날 수 있는데, 이는 다른 출혈에 비해 위험할 수 있습니다.
하부 위장관 출혈의 원인은 연령에 따라 다릅니다. 대장의 혈관 이형성증, 대장 게실, 장티푸스, 장 결핵, 궤양성 대장염, 대장암, 대장 용종, 치질 등이 원인이 됩니다.
위장관 출혈로 나타나는 증상은 출혈의 정도와 그 속도에 따라 신체에 다양한 영향을 미칩니다. 일반적인 증상으로 가슴 두근거림, 어지러움, 토혈, 호흡 곤란, 실신, 쇼크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혈변이 관찰됩니다. 상부 위장관 출혈은 변이 검고 짜장면 색과 같은 대변을 보입니다. 하부 위장관 출혈은 주로 변기에 피가 보이는 혈변이 나타납니다.
내시경 검사는 출혈 부위, 출혈 병변의 상태, 출혈 양상, 노출 혈관의 유무를 확인하고 진단하는 데 가장 중요하고 정확한 검사 방법입니다. 출혈 시 정확한 실혈량을 측정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그러나 출혈의 정도를 혈압, 맥박의 변화, 출혈의 양상(토혈인지, 토혈과 혈변이 같이 있는지, 혈변만 있는지), 혈변의 색깔(혈변이 흑색인지 선홍색인지)과 함께 확인하면 출혈 부위를 짐작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적절한 특수 검사를 선택하고 수행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주로 위장관 출혈이 1,000mL 이상일 경우 토혈이나 혈변이 나타납니다. 상부 위장관 출혈의 경우, 토혈이나 짜장면 색 같은 흑색 변을 보입니다. 대장 출혈인 경우에는 선홍색 혈변이 보봅니다. 또한 1,000mL 이상 실혈 시 빈맥, 저혈압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위장관 출혈은 생명을 위협하는 출혈 원인을 제거하는 지혈에 초점을 맞추어 치료합니다. 대부분은 자연적, 보존적 치료 요법으로 지혈됩니다. 그러나 출혈이 계속되거나 재출혈의 위험이 있으면 내시경적 지혈 요법, 방사선 중재 시술을 통한 색전술 시술, 수술 요법이 필요합니다. 내시경 검사는 수액 공급, 수혈과 같은 일반적인 응급처치와 동시에 시행합니다.
활동성 출혈이 없는 경우에는 출혈 후 24시간 이내에 내시경 검사를 시행합니다. 내시경 검사의 목적은 출혈 부위, 출혈 병변의 상태, 출혈 양상, 노출 혈관의 유무를 확인하고, 지혈하는 것입니다. 내시경적 지혈 요법으로는 출혈 부위에 약물을 직접 살포, 주입하여 출혈 혈관을 막거나 혈액을 응고시켜 지혈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또한 전기나 레이저를 이용한 지혈법, 고무밴드를 이용한 지혈법, 스테이플러용 철침과 유사한 헤모클립(hemoclip)을 이용한 지혈법 등을 많이 사용합니다.
위장관 출혈이 나타난 부위와 원인, 양상, 출혈량에 따라 적절한 지혈과 치료를 시행해야 합니다. 출혈을 적절히 치료하지 않으면 과다 출혈로 인해 저혈압, 쇼크, 사망에 이를 수 있습니다. 내시경적 지혈 요법이나 치료를 시행하더라도 재출혈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위험 요인이 있는 환자는 정기적으로 병원 검진을 받아야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변에 붉은 피가 묻어나오는 경우는 항문 주변의 병변에서 일어난 작은 출혈이 묻어나오는 경우로 가장 흔한 원인은 치열이라는 병변으로 항문에 과도한 힘으줘 조금 찢어진 상태일 수 있습니다. 음주는 치질을 유발하기 쉽고 치질 치루 등 항문주변의 병변이나 통증등의 진료는 외과의 영역입니다. 주변 병원중 항문외과 진료를 전문으로 하는 병원이 있으니 해당 병원을 찾아 진료를 받을것을 권유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혈변의 가장 흔한 원인은 치핵입니다. 피곤하거나 음주 이후에 치핵은 심해지는 경향을 보이지요. 피가 나오는 것은 보통 변을 보고 나서 빨간색으로 나오고, 통증이 없다는 것이 특징입니다. 물론 증상만으로는 치핵이라 단정할 수는 없기 때문에 대장 항문 병원에서 진료를 받고 확인을 하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당분간은 금주하시고, 좌욕, 변비 관리를 잘 해보시는 것도 좋을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