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조용한문어80
조용한문어8023.09.05

구름의 종류에 따른 생성원리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제가 기억하기로는 구름의 모양이나 높낮이에 따라서 구름이 분류되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구름들의 종류는 무엇이 있고, 각 구름의 생성원리는 무엇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의 모양과 크기는 '상승 기류'의 방향으로 결정됩니다.

    수증기를 가득 품은 공기 덩어리가 빠른 속도로 바로 위로 상승하면, 구름은 상하 방향으로 높이 발달하며 적란운이 발달하고 천천히 비스듬하게 상승하면, 구름은 수평 방향으로 넓게 발달하는데 난층운이 그 대표적인 구름입니다.

    또 적란운과 난층운은 모두 비가 내리지만, 적란운은 억수 같은 비를 내리는 경우가 많고, 난층운은 촉촉하게 비를 내리는 경우가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사를 해본 결과 구름은 모양이나 높이에 따라 크게 층상운과 대류운으로 분류됩니다.

    층상운은 하늘 전체에 얇게 퍼진 구름으로, 높이가 2km 미만입니다. 주로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생성되는데, 대기 중의 수증기가 상승하면서 기온이 내려가고, 수증기가 응결하여 생성됩니다. 층상운은 흐린 날씨를 만들고, 비나 눈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층상운의 종류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층운 (stratus): 가장 흔한 층상운으로, 하늘 전체를 덮는 균일한 구름입니다.

    • 층적운 (stratocumulus): 층운과 유사하지만, 층운보다 덩어리가 더 크고, 구멍이 뚫려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 권층운 (altostratus): 층운보다 높게 형성되는 층상운으로, 햇빛을 약하게 가리는 얇은 구름입니다.

    대류운은 따뜻한 공기의 상승과 냉각에 의해 생성되는 구름으로, 높이가 2km 이상입니다. 따뜻한 공기가 상승하면서 기온이 내려가고, 수증기가 응결하여 생성됩니다. 대류운은 뇌우와 호우를 동반하기도 합니다.

    대류운의 종류로는 다음과 같은 것들이 있습니다.

    • 난층운 (stratus cumulus): 얇은 층상운과 구름 덩어리가 섞여 있는 구름입니다.

    • 권운 (cumulus): 흰색의 뭉게구름으로, 대체로 햇빛을 가리지 않습니다.

    • 권적운 (cumulonimbus): 뇌우를 동반하는 구름으로, 높이가 매우 높고, 암갈색을 띠는 경우가 많습니다.

    • 적운 (cumulonimbus): 뇌우를 동반하는 구름으로, 층운과 권운이 결합된 형태입니다.

    구름의 생성원리는 다음과 같습니다.

    • 대류운은 따뜻한 공기의 상승과 냉각에 의해 생성됩니다. 따뜻한 공기는 차가운 공기보다 밀도가 낮기 때문에, 상승하는 힘을 받습니다. 상승하는 과정에서 기온이 내려가고, 수증기가 응결하여 구름이 생성됩니다.

    • 층상운은 고기압의 영향을 받아 생성됩니다. 고기압의 하층부는 습한 공기로 채워져 있는데, 이 공기는 수평으로 이동하면서 기온이 내려갑니다. 기온이 내려가면서 수증기가 응결하여 구름이 생성됩니다.

    구름의 종류와 생성원리를 이해하면, 날씨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기상재해를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좋아요 추천 부탁드립니다. ^^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05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구름은 대기 중에 수증기가 응결하여 형성되는 고체 또는 액체 입자의 집합체입니다. 구름의 생성 원리는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은 과정을 거칩니다:


    1. 수증기 형성: 구름이 형성되려면 대기 중에 충분한 양의 수증기가 있어야 합니다. 이는 대기 상에서 물이 증발하여 가스 상태로 변환된 후, 수증기 분자로 존재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2. 응결핵: 구름 생성을 위해서는 응결핵이 필요합니다. 응결핵은 공기 중에 존재하는 미세한 입자로, 먼지, 소금 결정, 화산재 등이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입자들은 수증기 분자들이 결합할 때 기준점 역할을 하며, 그 주위에 물 분자들이 모여서 액체 형태인 구름 입자를 형성합니다.


    3. 포화 상태 도달: 응결핵 주변에서 모인 수증기 분자들은 계속해서 충돌하고 결합하면서 성장하게 됩니다. 이러한 과정에서 포화 상태에 도달하게 되며, 이때 액체 상태인 작은 구름 입자들이 형성됩니다.


    4. 성장과 운동: 초기에 형성된 작은 구름 입자들은 대류와 대류운동 등의 기상 조건에 따라 성장하고 합쳐져 큰 구름 클러스터를 형성할 수 있습니다.


    5. 각종 종류의 구름: 대류운동과 기상 조건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구름이 생성됩니다. 일반적으로 낮은 고도에서는 적운(Stratus)과 층운(Stratocumulus) 등의 낮은 태평양클라우드(Low-level Clouds)가 형성되며, 보통 2~6km 정도의 중간 고도에서는 권운(Cumulus), 권적운(Cumulonimbus), 웨일(Cloud Street) 등 다양한 종류의 태평양클라우드(Mid-level Clouds)가 발생합니다.


    구름 생성 원리는 복잡하고 많은 요소들이 관여하지만, 기본적으로는 수증기 응결 및 성장과정으로 이루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