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현대에서는 금융업을 하지 않는 이유가 뭘까요?
우리나라 대기업 중 삼성가와 현대가에서는 왜 금융업에 뛰어들지 않고 있나요? 삼성은행, 현대은행이 있으면 사업측면에서도 좋을 것 같은데, 못하는 이유가 있나요?금(융)과 산(업)을 분리한다는 원칙이며, 한마디로 제조업 또는 서비스업회사가 은행을 소유하는 것을 금지하는 은산분리 원칙과, 금융회사의 비금융회사 지배를 금지하는 원칙인 금산분리법에 의해 삼성, 현대자동차그룹 등은 제한을 받습니다.
안녕하세요 금산분리법 때문에 못하는거에용 금산분리라는게 금융자본인 은행과 산업자본인 기업간의 결합을 제한하는거죵 삼성도 현대도 은행만들고 싶긴할거에요~
정확한 이유는 밝히지 않았으나 금융업은 기존 은행들과의 치열한 경쟁이 예상되는 산업이기도 합니다. 이미 시장에는 다양한 은행들이 존재하고 있고, 새로운 은행이 진입하기 어려운 환경일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제가 아는 선에서 답변 드립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금산분리 원칙에 따라 산업자본과 금융자본은 분리되어 있어야 한다는 규제가 있기 때문입니다. 이는 기업이 금융 부문을 소유함으로써 생길 수 있는 과도한 영향력이나 지배력 집중을 방지하고, 기업 자체의 부도가 금융 부문으로까지 이어지는 것을 막기 위한 조치입니다.
우리나라와 같은 경우에는 금산분리법이 있습니다.
이에 따라서 기업이 금융을 소유하지 못하는 등 이에 따라서 어려운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질문하신 삼성, 현대에서는 금융업을 하지 않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한국에서는 금산분리의 규제가 있기 때문에
대기업에서는 은행업에 진출하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다만, 은행업이 아닌 다른 금융 관련 산업에 삼성도 현대도, 다른 대기업도 진출했습니아.
이를테면 보험과 증권 등에 말입니다.
✅️ 은산분리 즉, 은행과 산업자본은 분리가 되어있어야 은행을 가진 그룹이 계열사가 부실해 졌을 때 부당하게 대출하거나 지원하는 걸 막을 수 있다고 본 결과라 할 수 있습니다. 즉, 산업자본은 은행을 소유할 수 없게 되어있기 때문입니다.
삼성과 현대는 금융업 보다는 산업에 집중을 해서 금융업을 겸할 수 없기 때문이라고 생각됩니다. 우리나라는 금산분리법에 의해 두 업을 겸할 수 없습니다.
금산분리법(金産分離法)은 금융자본과 산업자본을 분리 시키기 위한 법률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실질적으로 산업자본의 금융자본 소유를 허가하되, 은행자본에 대해서는 소유를 금하고 있으므로 은산(銀産)분리라고 할 수 있다.
제조업을 중심으로 하는 회사가 은행업에 뛰어들기 위해선 규제가 많기 때문이며, 동시에 평판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입니다.
일단 첫번째로 우리나라에서 은행을 인수하는데에는 여러 규제가 많습니다. 이것저것 통과하고 허가받아야 할 사항이 넘쳐나죠. 깐깐한 심사는 덤이고요. ('은산분리' '금산분리' 라고도 합니다.)
게다가 대기업이 돈놀이를 한다는 사실이 알려지면 평판에 문제가 생길 수 있습니다.
은행업을 하면 언젠간 돈을 값지 않는 사람들을 찾아다니며 독촉하게 될텐데. 그럼 평판이 많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
(카드사보다 훨씬 많은 독촉 필요)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이상으로 답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본인이 경험 또는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직접 작성한 정보글로, 단순 착오나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삼성과 현대는 전자 산업과 자동차 산업에 집중하며 성장해 왔고 주력 사업분야가 서로 겹치지는 않습니다. 두 회사가 각자 주력 사업 분야를 지키는 대신 상대 핵심 분야에 진출하려던 계획을 접은 것 같은데 회사만의 경영철학과 사업전략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지 않았나 추정해 봅니다.
가장 큰 이유는 금산분리법때문입니다.
산업 자본과 금융 자본은 분리되어야 한다는 법률 때문에, 은행업의 특정 지분인 4%를 초과해서 보유할 수 없는 이상, 은행업에 진출하지 않는 것이나 대신해 보험업, 증권업에서 영향력을 키우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