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식은 공포에사고 한바구니에 담지말라했습니다.
국내장이 엄청 떨어지고 금리가 지속적으로 오른다하여 투매가 많아져 코스피 2400붕괴되는순간 투자를 많이했는데.. 2300도 깨지네요 ㅋㅋㅋ
아직 공포가 안온걸까요?
구리고 계란을 한바구니에 닮지말랬는데, 오히려 한바구니에 담은 계란이 4연상으로 대박이 나버렸네요.
참으로 주식은 어렵습니다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금리인상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 이상 아직까지도 주식시장의 저점은 도달하지 않은 것으로 봐야 할 것 같습니다.
지난 코로나 시기 이전에 코스피가 2100대에서 머물고 있다가 1400저점을 찍은뒤 3200까지 1년반만에 가파르게 상승하였습니다. 이는 지난 5년동안 코스피가 상승했던 것보다 너무 큰 상승이었으며 정상적인 상승장이 아니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렇기에 지금 코스피 2300은 코로나 이전보다도 약간 높은 상태로 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지금 시장은 코로나때 유통된 화폐를 모두 거두어 들여야 하는 상황이기 때문에, 이러한 계획을 생각한다면 적어도 코스피는 코로나로 인한 수혜를 모두 반납하고 올해 연말에는 2천대 초반혹은 1900까지도 열어두고 생각하셔야 할수도 있습니다.
지금 상승하고 있는 주식들은 대부분 테마주로 조심하실 것을 권유드립니다.
좋은하루 되시고 성투하세요!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아직 주식 등이 바닥을 찍었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으며
당분간 불확실성한 요소들이 상당하기 때문에 공포가 왔다고
보기는 어려울 것 같습니다.
한종목에 올인하여 투자를 한다면 투자수익이 극대화할 수 있겠지만
반대로 많이 손해를 볼 수도 있으니 신중하게 투자하시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정원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탐욕과 공포에서 공포는 어느 한 시점이 아니라 기간입니다.
본인의 재정적인 기초체력을 판단 하시고 그 기간동안 꾸준히 매수하실 수 있는 전략을 세우시길 추천드립니다.
목표로 했던 기대수익률보다 반대로 갔거나 더 커졌다면 변동성이 커졌다는 신호로 받아들이시는게 현재 상황에서는 더 알맞은 태도이지 않나 말씀 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러시아 전쟁이슈 및 인플레이션을 잡기위한 고강도 금리인상등으로 증시등 투자심리가 많이 위축된 상태로 올말까지는 고강도 금리인상이 진행되고 내년에도 인플레이션 상황에 따른 변동성이 예상되어 증시에는 좋지 않을것으로 생각됩니다. 그때 그때 대응이 필요하겠지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