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산화수소수를 상처에 부으면 거품이 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가정상비약으로 있는 과산화수소수를 상처에 바르면 나는 거품이 나는 것은 어떤 원리로 이루어지는 건가요?
이 거품의 정체는 무엇이라고 봐야 하나요?
과산화수소수는 어떤 원리로 상처 소독이 가능한 건가요?
안녕하세요.
과산화수소수(Hydrogen Peroxide, H₂O₂)를 상처에 사용할 때 거품이 발생하는 현상은 과산화수소가 생체 조직에 존재하는 효소인 카탈라아제(Catalase)와 반응하여 분해되기 때문입니다. 이 반응 과정에서 과산화수소는 물(H₂O)과 산소(O₂) 가스로 분해됩니다.
과산화수소를 상처에 바르면 나타나는 거품은 주로 산소 가스(O₂)입니다. 카탈라아제 효소는 과산화수소 분자에서 산소 원자를 빠르게 분리시켜 산소 가스를 방출합니다.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소 거품은 상처 부위에서 눈에 띄게 관찰됩니다.
카탈라아제의 작용에 의해 과산화수소는 다음과 같은 화학 반응을 거칩니다 :
2H₂O₂ → 2H₂O + O₂
이 반응은 매우 빠르게 일어나며, 분해 과정에서 대량의 산소 가스가 방출되어 거품을 형성합니다.
과산화수소의 소독 효과는 그 산화력에 기인합니다. 과산화수소가 산소를 방출하면서 강력한 산화제로 작용하여 세균의 세포벽을 손상시키고, 세균 내의 필수 구성요소를 산화시켜 세균을 사멸시킵니다. 이러한 산화 과정은 다양한 유형의 미생물에 대해 살균 작용을 하여 상처 감염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입니다.
비록 과산화수소가 효과적인 소독제로 사용될 수 있지만, 그 사용은 주의를 요합니다. 과도한 사용은 건강한 피부 조직에도 손상을 줄 수 있으며, 염증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따라서 과산화수소를 상처 치료에 사용할 때는 적절한 농도와 빈도를 고려하여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최근 연구와 임상 지침에서는 상처 치유 과정을 촉진하기 위해 보다 순한 소독제 사용을 권장하고 있습니다.1명 평가안녕하세요. 김경태 전문가입니다.
상처 부위에 존재하는 효소인 '카탈라아제'와 반응합니다. 카탈라아제는 우리 몸에 자연적으로 존재하는 효소로, 과산화수소를 물과 산소로 분해합니다.
이 반응에서 발생하는 산소가 기체 상태로 방출되면서 거품이 생성됩니다. 따라서 상처에 과산화수소수를 바르면 거품이 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강한 산화제입니다. 따라서 세균이나 바이러스와 같은 미생물과 접촉하면 이들의 세포막을 파괴하고, 단백질을 변성시켜 미생물을 죽이는 효과를 가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상처 소독이 가능한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과산화수소를 상처에 부으면 거품이 나는 이유는 산소 때문입니다. 과산화수소와 혈액이 만나면 산소가 발생합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홍성택 전문가입니다.
과산화수소수(H₂O₂)를 상처에 부으면 거품이 나는 이유는 과산화수소가 상처에 있는 효소인 카탈라아제와 반응하기 때문입니다. 카탈라아제는 세포에서 과산화수소를 분해하는 효소로, 이 반응에서 물(H₂O)과 산소(O₂)가 생성됩니다.
안녕하세요. 박온 전문가입니다.
과산화수소수를 상처에 바르면 카탈라아제라는 효소가 과산화수소를 물과 산소로 분해하는데.. 이 과정에서 발생하는 산소가 거품을 만듭니다. 과산화수소는 이 산소 방출을 통해 세균을 파괴하여 소독 효과를 내죠.
안녕하세요.
피부에 상처가 났을 경우 세균에 감염되어 상처가 더 심해질 수 있기 때문에 바로 소독을 하여 보호해주어야 하는데요, 이럴 때 강력한 살균 작용을 하는 소독약으로 과산화수소가 사용됩니다. 상처난 부위에 과산화수소수를 부을 경우, 뽀글뽀글 거품이 발생하는 것을 볼 수 있는데요, 이는 과산화수소와 상처부위에서 새어나온 혈액이 만나면서 산소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물인 H2O에 산소를 하나 더하면 과산화수소, H2O2가 되는데 과산화수소는 강력한 산화제로 상태가 굉장히 불안정합니다. 이걸 상처에 바르면 혈액 속에 있는 '카탈라아제'라는 촉매제가 H2O와 O로 분해되는 반응을 급격하게 촉진해서 거품이 발생하게 되는 것입니다. 즉, 과산화수소수는 매우 불안정한 산소 원자가 붙어 있는데 이것이 분해되면서 나오는 활성산소가 무차별적으로 세포를 공격하면서 살균 효과를 발휘하는 것입니다.
과산화수소수를 상처에 바르면 거품이 나는 이유는 과산화수소가 상처 부위의 혈액이나 조직에 있는 카탈라아제라는 효소와 반응하기 때문입니다. 이 반응에서 과산화수소가 물과 산소로 분해되면서 거품이 생깁니다. 이 거품은 산소로, 상처를 깨끗하게 하고 세균을 제거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과산화수소수는 산소를 발생시켜 세균의 세포벽을 파괴하거나 단백질을 변성시켜 소독 효과를 나타내는 원리로 상처 소독이 가능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