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예금·적금

고매한크낙새25
고매한크낙새25

ADR과 EDR의 DR은 뭘 말하느 건가요?

다른 나라 회사가 미국에 상장하면 ADR이라고 하고 런던에 상장하면 EDR이라고 합니다. 앞자리가 바뀌는건 알겠는데, DR은 뭘말하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5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민준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ADR은 American Depositary Receipt의 약어로, 미국에 거래소 상장된 외국 기업의 주식을 미국에서 증거금으로 예치하여 발행하는 증서를 말합니다. 이때 DR은 Depositary Receipt의 약어로, 이 증서가 예치될 수 있는 증서를 뜻합니다.

    ADR은 미국에서 거래가 가능하게 하기 위해 외국 기업이 발행하는 증서이며, 이를 통해 미국 투자자들은 미국 거래소에서 외국 기업의 주식을 쉽게 거래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한국 기업의 ADR을 산다는 것은 한국에서 발행한 주식을 직접 살 필요 없이, 미국 거래소에서 거래할 수 있는 증서를 구매하는 것입니다. 이때 DR은 이러한 증서의 형태를 의미하는 용어로 사용됩니다.

  • 안녕하세요. DR(Depository Receipt) 즉, 주식예탁증서는 해외에서 국내의 원래 주식에 대한 소유권을 인정해주는 대체증서입니다. 국내 주식들은 우리나라 주식시장에 상장되어 있는데, 해외에서 투자를 유치하기 위해서 주식을 해외에서 발행하고자 하는 경우, 외국의 예탁기관이 해외 현지에서 증권을 발행하고 유통하게 해서 원주와 상호 전환이 될 수 있도록 해주는 대체증서를 발행하는데 이걸 주식예탁증서라고 합니다.


    해외에서 자본을 유치하기 위해 해외금융기관으로 부터 자금을 빌리거나 외화표시채권 발행 등으로 자금을 조달하는 것이 아니라서 이자부담이 없는 장점이 있습니다.


    위에서 써주신 앞에 붙는 알파벳에 따라 어디서 발행되는지가 표시되게 되는데요. 미국에서 DR을 발행하면 ADR(American Depository Receipt), 전 세계에서 발행되는 것이 GDR(Global Depository Receipt), 유럽에서 발행하는 것이 EDR(Europe Depository Receipt), 한국에서 발행하는 것이 마찬가지로 KDR이 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ADR과 EDR 중에서

    DR은 Despositary Receipts를 의미하며

    이는 예탁증서를 의미하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이희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앞에 붙은 것은 발행대상지역입니다. 미국이니 america이고 유럽인 europe인 것이지요.

    뒤에 붙은 것은 예탁증서입니다. Depository Receipt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DR은은 외국 회사의 주식을 미국 또는 다른 나라의 시장에서 거래 가능하도록 만든 금융 상품입니다. 그리고 ADR은 미국 시장에서 외국 회사의 주식을 거래하기 위한 Depositary Receipts를 의미합니다. EDR은유럽 시장에서 외국 회사의 주식을 거래하기 위한 Depositary Receipts를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