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21

모기는 정말 특정 사람만 무나요?

사람들이 말하길 모기는 좋아하는 피가 있다고 하는데요.

피가 달면 모기가 좋아 한다는 말이 정말 과학적으로 증명된 사실 인가요?

다른 사람들과 있어도 저만 무는 이유는 멀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유망한쿠스쿠스131
    유망한쿠스쿠스13122.07.21

    안녕하세요. 임창진 박사입니다.

    모기는 멀리서부터 머리 부위에 달린 촉수를 이용하여 땀 또는 암모니아 냄새와 숨쉴 때 내뱉는 이산화탄소를 감지하여 우선 목표를 설정합니다.

    다음으로 1~2m 이내로 목표물과 가까워지면 모기는 시각을 통해 확인하고, 체온과 체습 등을 감지해 목표물을 물게 됩니다.

    세간에 잘 알려진 “피가 달아서 더 많이 물린다”는 얘기는 과학적 근거가 없습니다. 다만 특정 사람을 좋아할 수는 있는데요.

    비만이거나 신진대사작용이 활발하여 땀을 많이 흘릴경우 땀 또는 암모니아 냄새로 인해 타겟이 되기 쉽고

    또한 아기들 혹은 체질적으로 열이 많을 경우 열을 감지하여 결과적으로 더 많이 모기에 물리게 됩니다. '

    그리고 영국 더럼 대학 연구에 따르면 임산부의 경우 이산화탄소를 21% 많이 방출하고 체온도 0.7도 정도 높기 때문에 모기에 잘 물릴 수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모기는 일단 이산화탄소와 땀냄새에 반응을 잘 하는것으로 알려져있습니다.
    몸에서 나는 냄새를 잘 제거하는것이 좋습니다.

    감사합니다.


  • 실제로 모기는 O형의 혈액형을 좋아한다고 합니다.

    모기는 영양분이 듬뿍 들어있는 혈액형을 좋아하는데,

    O형의 경우 피에 지방이 많아 모기가 이 냄새를 맡고 찾을 수 있으며 매우 좋아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종재 과학전문가입니다.

    모기는 시력이 나빠서 후각에 의존하여 움직인다고 합니다.

    따라서 어떠한 냄새를 맡고 피를 먹으러 잠시 우리의 몸에 앉는다는 말인데요.

    모기는 피의 냄새라기보단 몸에서 나오는 이산화탄소, 몸에서 나오는 분비물, 몸의 열을 보고 달려듬니다.

    따라서 자기전 샤워를 해주면 모기 물리는게 좀 덜 할 수는 있지만 결국 여름에는 땀이나기 때문에 효과가 그렇게 크지는 않을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