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툴루 신화의 기원에대해 궁금합니다
저는 크툴루 신화에 대해 자세히는 모르고 어렸을 적에 보았던 "정글은 언제나 맑은 뒤 흐림" 이라는 에니메이션을 통해 접했었습니다. 크툴루 신화의 기원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하워드 필립스 러브크래프트는 1890년에 미국 로드아일랜드 주 프로비던스에서 태어난 공포 소설 작가입니다. 러브크래프트가 활동할 당시에는 싸구려 포켓북에 자신의 소설이 실릴 만큼 평가가 낮았으나 그의 사후에 현대 공포 문학에 막대한 영향을 끼쳤습니다.
외아들이었던 러브크래프트의 아버지는 귀금속 전문 방문 판매 사원이었던 윈필드 러브크래프트이며 어머니는 세라 수전 러브크래프트입니다. 1893년에 아버지가 미쳐버려 정신병원에 수감된 후 5년 만에 사망하자 세라는 러브크래프트를 데리고 친아버지(러브크래프트의 외할아버지)인 위플 필립스에게 의탁하였습니다. 이 때 외할아버지인 위플은 어린 러브크래프트에게 서양 고전과 아랍 전승, 영국 괴담 등의 이야기를 들려주며 시간을 보냈고 러브크래프트는 아랍어와 고대 문화, 공포 소설 등에 관심이 쏠리게 되었습니다.
어릴 때 부터 병약한 러브크래프트는 학교에 가지 않고 유복한 외할아버지 덕분에 가정 교사에게 집에서 교육을 받았고 고등학교 시절 부터 학교에 다니게 되었는 데 이 때 자신이 믿고 따르던 외할아버지 위플이 사망하여 집안이 어려워지기 시작했습니다. 이 때 러브크래프트 모자는 위플을 잃은 충격으로 정신 착란과 히스테리를 앓게 되었으며 결국 어머니 세라는 남편이 수감되었던 정신병원에 수감되어 그 곳에서 삶을 마감하게 됩니다.
이 시기의 러브크래프트는 아마추어 작가 모임에 다니기 시작했고 그 곳에서 6살 연상의 여인인 소니아 그린을 만나게 됩니다. 1924년에 러브크래프트는 그린과 결혼하여 그녀가 사는 뉴욕으로 이주했으나 결국 대도시 생활에 적응하지 못하고 이혼하여 다시 고향인 프로비던스로 내려왔습니다.
프로비던스 지방에 깊은 애착을 가지고 있던 그는 고향에 내려온 후에 왕성한 집필 활동을 하였으며 그의 대표작들은 대부분이 이 시기에 쓰여졌습니다. 그러나 그의 소설은 얼마 팔리지 않았고 생활은 더 곤궁해져 갔으며 결국 1936년에 장암 판정을 받고 자신의 비정상적인 식성과 가난으로 인해 영양실조까지 겹쳐 1937년 3월에 사망했습니다.
크툴루 신화는 1928년에 러브크래프트가 염가판 공포 소설 연재 모음집인 <위어드 테일즈(Weird Tales)>에 기고한 <크툴루 부름(The Call of Cthulhu)>을 연재하면서 그 신화의 시작을 알렸습니다. 크툴루 신화 이전에는 염가판 단편 공포 소설을 쓰면서 활동했습니다.
크툴루는 인간도 포유류도 없던 과거 지구를 지배하며 살던 고대신들로, 그 고대신들이 다시 깨어나기 시작하며 인간들에게 공포를 선사합니다. 또 인간은 신의 관심을 받는 존재에서 끌어내려져 우주의 평균보다 한참 아래에 있는 미물같은 존재이며, 거대한 우주의 신비와 공포스러운 비밀들에 압도당하는 존재입니다.
러브크래프트는 바다에 대한 편집증적인 공포와 혐오감을 지녔으며 평생 해산물을 입에 대지도 않았으며 러브크래프트의 괴물들은 수중 생물을 연관시키는 게 많습니다.
본래 크툴루 신화는 하나의 정립된 이야기가 아니며 신화 체계가 정리된 것은 그가 사망한 후의 일입니다. 크툴루 신화를 체계적으로 정리한 사람은 러브크래프트의 팬이자 제자로 당시 얼마안되는 러브크래프트의 문학관의 이해자였던 어거스트 덜레스로 그가 창립한 출판사 아캄 하우스가 러브크래프트의 작품들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여 발표하였고 이 때부터 러브크래프트는 재조명을 받기 시작합니다. 때마침 제2차 세계대전으로 미국 사회에 만연해 있던 허무주의와 맞물려 절망적인 내용이 폭발적 지지를 얻게되어 점차 러브크래프트의 문학도 지지를 얻었고 특히 제대군인 원호법을 통해 전쟁 전에는 생각도 못했던 대학에 입학할 수 있었던 수많은 염가 소설 독자들은 그의 작품을 문학적으로도 연구하기 시작했습니다.
크툴루 신화에 나오는 신인 아우터 갓(외부신)은 한계가 없는 우주에 대한 영향력을 지닌 신들로 이들은 혼돈의 제왕이자 만물의 창조주인 아자토스를 섬깁니다. 아우터 갓의 대립점에 서있는 존재는 "선한 신"인 엘더 갓으로 본성이 선량하기 때문에 대부분 인간에게 우호적이거나 무관심한 존재입니다.
또아 아우터 갓 보다는 강력하지는 않지만 인간들에게 순배되는 고대신인 그레이트 올드 원(위대한 고대의 존재)도 존재합니다.
질문자님께서 언급하신 데이곤("다곤"을 영어식으로 읽은 것)은 그레이트 올드 원 중 하나로 본래 원전은 현재의 이라크에 해당하는 중근동의 메소포타미아 신화에 등장하는 신인 "다곤"입니다. 다곤은 함무라비 법전에서는 "우리들의 아버지"라고 표현되었으며 바빌로니아의 기록에서는 물의 신 에아와 동일시되어 어류의 신으로 보는 데에 반면 페니키아 측 기록에서는 곡물의 신으로 봅니다.
펠리시테인(한국어 성서의 표기인 블라셋인으로 잘 알려짐)들은 다곤을 반인반어의 신으로 이해하고 숭배했으며 현재 이스라엘의 아슈도드와 이집트의 가자에 다곤 신전이 남아 있습니다.
러브크래프트는 다곤을 자신의 소설 <데이곤>과 <인스머스의 그림자>을 통해 마신으로 묘사했으며 그레이트 올드 원의 일원으로서 거대한 몸집에 온몸이 비늘도 덮혀 있으며 수정구슬 같은 눈과 물갈퀴가 붙어 있는 손발을 지닌 괴물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다곤은 배우자 신인 히드라와 함께 딥 원(깊은 존재)이라 불리는 어인을 부립니다.
러브크래프트의 크툴루 신화는 후대의 공포 문학과 대중 문화에 영향을 미쳤으며 메탈리카 같은 메탈 음악 밴드나 여러 만화, 게임에 영향을 주었습니다.
심지어 파워디지몬(디지몬 어드벤처 02) 애니메이션 13화에 딥 원에서 모티브를 얻은 에피소드도 나옵니다.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크툴루 신화의 대략적인 세계관은
인류 출현 이전의 지구에 살았던 인간의 상상을 아득히 뛰어넘는 기괴한 외계
종족들과 초월적 존재들에 대한 공포를 묘사하는 데 근거하고 있으며, 까마득한 과거의 지구에서 공포와 광기로
지배했던 고대 악신들의 신화라고
합니다.
출처:나무위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