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태풍이 여름보다 초가을에 많이 발생되는 이유는?

올해 초가을 태풍이 자주 우리나라를 지나가서 피해도 많았는데요.

여름이 아닌 초가을에 태풍이 많이 발생되는 것이 ㅜ연인지 다른 이유가 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은 지구로 오는 태양열에 의해 발생됩니다. 태양열은 저위도와 고위도가 받는양이 다르게 되고 이로인해 에너지의 불균형이 발생되고, 기압도 변화되어 이에 대한 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대기가 순환되는 과정에서 발생되는 것이 태풍입니다.

    태풍은 거대한 수증기의 열에너지가 반시계방향으로(남반구는 시계방향) 돌면서 회전하는 운동에너지로 바뀌는 현상을 말합니다.

    태풍은 발생된 해수면의 온도가 높을수록 수증기가 많을수록 비도 많아지고 세력도 커집니다. 그로인해 기압차도 커져 바람의 세기도 강해 집니다.

    바다의 해수면 온도가 일년중 가장 높을때는 8월말에서 9월 입니다. 하여 증발되는 수증기도 가장 많은 때 입니다. 태풍의 발생과 에너지원은 열과 수증기 이므로 바다에 열과 수증기가 가장많은 9월경에 강력한 태풍이 많이 발생됩니다.

  • 위대한거북이239
    위대한거북이239

    태풍은 기후의 영향으로 발생합니다.

    특히 고온이면서 습기가 많은 공기가 조건부로 불안정한 환경에서 상승하게 될 때 형성됩니다.

    지면에서 수직으로 적란운의 숨은 열이 구름 속의 공기를 데우게 되면

    강한 상승기류가 발생하게 되고 이것이 점점 커지면 태풍이 됩니다.

    이러한 현상이 나타나는 것이 늦여름과 초가을이 유리한 환경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태풍의 강도수증기량저기압 시스템의 발달과 관련이 있습니다. 여름이나 가을에 강한 태풍이 올 수 있으며, 태풍이 만들어질 때의 환경이 수증기량이 많고 강한 저기압을 만들게 될 때 강한 태풍이 됩니다. 그런데 9월 경(늦여름, 초가을)에는 해수의 온도가 가장 높은 시기이고 이로 인해 물의 증발량이 올라가기 때문에 수증기량이 많아져 강한 태풍이 만들어 지는 것이죠.

    궁금증이 해결되셨길 바라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중건 과학전문가입니다.

    가을이 되면서 해수온도는 한 여름보다도 높아지기 때문에 보다 강한 태풍이 발달할 수 있는 조건이 잘 형성돼 있습니다.

    가을에 발생하는 태풍은 태생적으로도 여름철 태풍보다 강력하게 성장할 가능성이 더 큽니다.

    여름 내내 달궈진 고온의 바다가 내뿜은 수증기가 태풍의 에너지원 역할을 해, 강한 세력을 잃지 않고 이동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현재 서해상의 해수 온도가 평년보다 높은 데다, '볼라벤'이 발생한 필리핀 동쪽 해역의 수온 역시 30도에 이를  정도로 높았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