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트코인 51% 공격이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비트코인 51% 공격에 대한 언급이 가끔 나오곤하는데요.
비트코인 51% 공격에 핵심만 간략하게 설명해 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안녕하세요. 51%공격에 대하여 답변드리겠습니다.
▣ 블록체인을 공격하는 방법 - 51%공격
블록체인도 하나의 프로그래밍된 시스템으로 100% 완전하지 않습니다. 블록체인 시스템내 취약요소나 허점을 이용하여 악의적인 공격으로 피해를 주거나 부당이득을 취할 수 있습니다.
51%공격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50%가 넘는 압도적인 컴퓨팅파워(해시 연산력) 통해 거래정보를 변조하여 정상적인 거래를 방해하고 비정상적인 거래가 승인되도록 조작하는 공격방법을 말합니다.
중앙화의 특성이 높은 블록체인에서 발생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십니까 질문자님
블록체인의 형성하는 증명방식에 있어서 지분증명또는 합의증명에는 그 참과 거짓을 판별하는 증인(노드)의 역할과 지분이 중요합니다. 참을 증명하는 증인들의 수가 많으면 참으로 인정되어 다음 블록을 형성하게 되는데 만약 여기서 거짓된 사실이더라도, 51%의 과반수가 넘는 거짓증명자들이 힘을 합쳐 이것이 참이라고 증명해버린다면 거짓도 참이 될수 있다는 문제가 생겨버립니다
사실상 지분에 의한 의견일치는 51% 공격과 일맥상통한 폐해를 낳기도합니다.
51% 공격은 블록체인 네트워크에서 특정 집단이나 개인이 전체 절반이 넘는 컴퓨팅 연산자원(해싱파워)을 확보, 원장 기록을 위.변조 하는 행위이며, 이러한 공격은 비트코인의 개념이 처음으로 등장할 때부터 이론적으로 존재하며, 우려했떤 공격 방식입니다.
다만, 세계적으로 구축된 방대한 마이닝 풀로 인해 사실상 불가능 한 기술로 여겨졌습니다.
하지만, 코인사등 사업결정권, 로드맵 방향성을 결정 짖는 지분에 의한 의견 수립과정이 필요할 경우에는 소수이기 때문에 이러한 이론이 실질적으로 성립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미연의 방지 형식으로 처음부터 신뢰를 바탕으로 신뢰성을 가진 몇몇의 소유자에서 이러한 지분을 분배하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비트코인 51% 공격이 무엇인가요? 라고 문의 하셨는데요.
51%공격이란 블록체인의 전체 노드중 50%이상의 해시연산력을 확보하여 거래정보를 조작하는 해킹공격을 51%공격이라고 합니다. 악의적인 해킹 공격자가 전체 블록체인 네트워크의 50%를 초과해서 막강한 해시연산능력으로 다른 정직한 노드들보다 더 빠르게 신규블록을 생성해서 정상적인 데이터가 아닌 위변조된 테이터가 포함된 블록체인을 채택하여 거래정보를 조작함으로 이중지불을 하는것이 51%공격입니다.
쉽게 예를 들면 A가 B의 물건을 구매하기로 하고 물건값 100만원을 지급을 했는데 동시에 C에게도 100만원을 지급을 합니다. 그런데 과반수의 해시파워를 가진 A가 A와 C의 거래가 정상적으로 된 거래라고 장부에 합의를 해주게 됨으로 B와의 거래는 없는것이되어 거래값이 사라지게 됩니다. 그러므로 B는 물건도 못받고 돈도 못받는 상태가 되는것입니다. 이렇듯 거짓 거래 장부를 만들어 B와의 거래를 없는것으로 하는것을 51%의 공격이라고 합니다.
최근 사례로는 2020년 1월23일과 1월24일 비트코인골드의 51%의 공격의 해킹피해로 약 19,000BTG인 약 19,000달러의 비트코인골드가 두배로 지출되는 피해를 입었습니다.
감사합니다.
말씀하신 비트코인 블록체인의 예를 들어 답변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비트코인의 블록체인은 평균 10분마다 새로운 블록이 생성됩니다. 그리고 네트워크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연산 파워를 100 퍼센트라고 할 때 산술적으로는 그것의 최소 51% 정도에 해당하는 연산 능력을 가지고 있어야 위, 변조된 데이터가 담긴 블록을 평균 10분 안에 나머지 49%보다 더 빠르게 생성할 수 있고 그것을 49% 블록보다 더 많은 51%에게 전달하고 기록할 수 있을 것입니다.
만약에 51% 공격이 이루어지면 49%의 실제 거래 내역이 동일하더라도 그것보다 더 많은 블록들이 위, 변조된 51%의 거래 내역을 기록하고 있으므로 결국 위, 변조된 내용이 진짜 거래로 인식되는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공격이 성공한 것이죠.
하지만, 비트코인의 경우 이용자도 많고 거래도 활발하며 현실적으로 비트코인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모든 연산 파워의 51%를 해킹에 동원하는 것이 시간이나 비용적으로 볼 때 불가능에 가깝기 때문에 안전하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이용자가 적고 트랜젝션이 활발하지 않은 블록체인의 경우, 데이터 위, 변조를 위한 연산 파워를 확보하여 51% 공격을 성공시키기가 쉬워집니다.
실제로 과거에 이더리움 클래식이나 Verge, 비트코인 골드의 경우 이 51% 공격이 성공하여 암호화폐를 탈취당함으로써 경제적 피해가 발생한 경우가 있습니다.
정리하자면 일반적으로는 블록체인은 51% 공격과 같은 해킹 공격에 대한 보안성이 매우 높지만 지금도 해킹이 불가능한 것은 아니며 그러한 가능성은 노드의 수가 적고 트랜젝션의 발생이 활발하지 않으며 블록체인의 전체 연산 파워가 크지 않을수록 높아진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