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심리상담

폭식증·거식증

폐지줍는 고블린
폐지줍는 고블린

폭식증이 사회적 또는 문화적 요인과 어떤 연관이 있나요?

폭식증이 생긴 이유중에 하나로 사회적이나 문화적 요인이 있다고 들었습니다.

아직까지는 제대로 된 이유를 못찾았는데요 폭식증이 사회적 또는 문화적 요인과 어떤 연관이 있나요?

그리고 연관성에 대해서 설명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정확한 진단과 치료는 의사의 진료를 통해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해주세요.

    폭식증과 사회문화적 요인의 관계... 정말 복잡하고 미묘한 주제예요. 우리가 살아가는 세상이 우리의 행동과 생각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생각해보면 이해가 될 거예요.

    먼저, 우리 사회의 '마른 체형 선호' 문화를 살펴볼 필요가 있어요. TV, 영화, SNS에서 보이는 이상적인 몸매들... 이런 이미지들이 우리에게 끊임없이 '날씬해야 한다'는 압박을 주죠. 그러다 보니 극단적인 다이어트를 하게 되고, 이게 폭식으로 이어질 수 있어요.

    또 다른 측면으론 현대 사회의 스트레스와 불안정성을 들 수 있어요. 경쟁적인 사회 분위기, 불확실한 미래... 이런 요소들이 우리를 불안하게 만들죠. 그러다 보니 음식으로 위안을 찾는 경우가 많아요. 잠깐이나마 행복감을 느끼려고 말이죠.

    음식의 과잉 광고나 쉬운 접근성도 한 몫 해요. 24시간 열려 있는 편의점, 배달 앱의 발달 언제든 원하는 음식을 쉽게 구할 수 있죠. 이런 환경이 폭식 행동을 부추길 수 있어요.

    결국 폭식증은 개인의 문제가 아니라 우리 사회의 복잡한 단면을 보여주는 거예요. 그래서 치료할 때도 개인뿐만 아니라 사회적인 접근이 필요하답니다. 당신의 고민에 대해 깊이 공감하며, 건강한 관계와 자아존중감을 찾아가시길 응원합니다.

  • 작성된 댓글은 참고만 하세요, 중요한 일은 대면 상담을 추천드립니다

    아무래도 정신적 스트레스가 증가하고, 물질적으로 풍요로워지면서

    -> 스트레스를 쉽게 푸는 방법중의 하나가 식도락이 된 것과

    외모에 대한 집착 , 즉 일정 체중을 유지해야 한다는 압력을 받는 것이

    스트레스를 받는다 -> 먹는다 -> 체중 걱정이 된다 -> 토하거나 여러 방법을 쓴다

    는 악순환을 돌게 되는 듯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