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역사

소탈한하늘소43
소탈한하늘소43

제사지낼때 위패에 학생부군신위라고 적는데, 학생부군신위는 무슨의미인가요?

제사지낼때 위패에 학생부군신위라고 적는데요, 그러면 학생부군신위는 무슨의미인가요? 조상을 기리기위한 말인것인가요? 지금의 학생과도 상관이 있는말 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고혹적인까치278
      고혹적인까치278

      안녕하세요. 장효진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학생: 고인의 직위

      부군: 남성

      신위: 고인의 자리

      조선시대에는 양반이라면 누구나 과거를 준비해야 했고. (3대째 아무런 과거 합격도, 관직도 얻지 못하면 양반의 지위가 위태로와졌습니다.)

      그렇기에 양반이라면 누구나 과거를 준비하며 공부하였기에 관직에 들어서기 전까지는 학생이라 칭했습니다.

      때문에 관직에 들지 못한채 사망한 사람에게는 '학생' 을 붙이고,

      대통령, 장관, 국회의원, 군수, 기타 관직에 오르는 데 성공한 사람에게는 '학생' 대신 관직 명을 사용하곤 합니다.

      질문자님께 도움이 되셨길 바라며 이상으로 답변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본 답변은 본인이 경험 또는 학습한 내용을 바탕으로 직접 작성한 정보글로, 일부 착오나 오류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학생부군신위(學生府君神位)"는 조선시대에 있었던 관아(官衙) 중 하나인 학생부(學生府)에서 관리하던 신(神)의 이름입니다. 이 신은 고려시대에 성립되었으며, 산신(山神)이나 해신(海神) 등과 함께 대표적인 신 중 하나였습니다.

      학생부는 고려시대의 학교 체제 중 하나인 양생원(養生院)을 계승하여 설립되었으며, 학생들의 교육과 행정을 담당했습니다. 학생부의 권한은 매우 크며, 관직후보자들의 선발과 관리, 국자감사 등을 담당했습니다.

      이러한 학생부에서는 교육을 받았던 학생들 중에서 우수한 인재들을 신으로 추대하여 조상으로 섬기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학생부군신들은 조상을 기리기 위해 제사를 지낼 때 위패에 기록되었습니다.

      따라서, "학생부군신위"는 조선시대에 학생부에서 추대되어 조상으로 섬기게 된 학생들의 이름을 말합니다. 지금의 학생과는 직접적인 상관은 없으며, 역사적인 의미를 지니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현고학생부군신위(顯考學生府君神位)는 "배우는 학생으로 인생을 살다 돌아가신 아버지의 신령이 시여 나타나서 자리에 임하소서"라는 뜻입니다.

      현(顯)은 나타나다는 뜻. 고(考)는 아버지 부(父)와 동일한 뜻으로 생전에는 父라 하고 사후에는 考라 합니다.

      학생(學生)은 생전에 관직이 있으면 관직을 쓰고, 관직이 없으면 학생을 씁니다.

      부군(府君)은 어진 군자 혹은 돌아가신 조상을 높이어 부르는 말입니다.

      신(神)은 신령을 위(位)는 자리를 말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사때 쓰는 현고학생부군신위는

      顯:후손이 정성껏 지내는 이 제사에 모습을 나타내주십시오

      考:돌아가신 아버지라는 뜻

      學生:품계나 관식이 없는 분을 일컫는 말

      府君: 돌아가신 남자조상님을 높여서 부르는 호칭

      神位: 죽은 사람의 영혼이 의지할 자리

      즉, 돌아가신 아버지의 신령을 모신것이라 보면 됩니다.

      동양에서는 돌아가신 조상님을 신으로 모십니다.

      돌아가신 아버지께서 생전에 아무런 품계도 벼슬도 하지 못한 경우 사용하는 표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