처음에 중심성망막염 이라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망막에 물이 차서 시야의 일정부분이 일그러져 보이는 증상이였습니다.
처음에 중심성 망막염 이라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망막에 물이 차서 시야의 일정부분이 일그러져 보이는 증상이였습니다.
레이져 시술로 물은 빠졌는데.. 정기검사를 진행하다가 망막상피망막병증 이라는 진단을 받았습니다. 망막에 물이 차서 시야의 일정부분이 일그러져 보이는 증상이였습니다.
레이져 시술로 물은 빠졌는데.. 정기검사를 진행하다가 망막박리가 생겨서 그 부근으로 물이 계속 찬다는 진단을 받았는데.. 물이 빠진 이후로는 아직까지는 물이 차진 않고 있습니다.
일단은 적극치료를 하고 있지는 않는데... 적극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 어떤 문제가 생길까요?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중심성망막염과 망막상피병증, 그리고 망막박리까지 겪으셨다면 망막 구조에 상당한 스트레스가 있었던 것으로 보입니다. 지금은 물이 빠지고 증상이 호전된 상태라도, 망막박리가 있었다면 재발 위험이 있기 때문에 정기적인 모니터링이 매우 중요해요.
적극 치료를 하지 않는 경우, 망막 박리가 다시 진행되어 시력 손실이 영구적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 특히 망막 중심부(황반)에 영향을 미치면 시력 회복이 어려울 수 있어요.
만약 현재 물이 빠졌고, 시야 왜곡이나 흐림 증상이 없다면 안정적인 상태로 볼 수는 있지만, 망막에 물이 다시 차는지, 박리가 더 진행되지는 않는지 정기검사로 꾸준히 추적해야 합니다.
증상이 없다 해도 미세한 변화가 있을 수 있어서, OCT(광간섭 단층촬영) 같은 정밀 검사가 필요하고, 상황에 따라 추가 시술(레이저, 냉동술 등)이 필요할 수도 있어요. 상태가 유지된다면 지켜보는 것도 방법이지만, 의사 판단에 따라 조기 개입이 필요할 수 있으니 치료 방침은 꼭 안과 진료가 필요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