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2.29

세종대왕은 왜 한글을 창제하였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세종대왕은 왜 기존에 한자문화권인 우리나라의 제도를 뛰어넘어서 한글을 창제했는지 궁금합니다 그리고 세종대왕은 백성들과 어떻게 소통하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나무777
    나무77723.12.29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종대왕이 한글을 창제한 목적은 훈민정음 언해본 원문에 잘 나타나 있습니다.

    "나라의 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와 서로 통하지 아니하기에,
    이런 까닭으로 어리석은 백성이 말하고자 할 바가 있어도
    마침내 제 뜻을 능히 펴지 못하는 사람이 많다.
    내가 이를 위하여 가엾이 여겨
    새로 스물여덟 자를 만드니
    사람마다 하여금 쉽게 익혀 날로 쓰기 편하게 하고자 할 따름이다."

    최고의 권력자가 애민이의 마음이 아니면 결코 할수 없는 일이었을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백성을 사랑하는 왕의 마음이라 할 수 있습니다.

    가엾은 백성을 위해 훈민정음을 만들다나는 훈민정음을 만든 이유를 밝혔습니다.

    내가 문자를 만든 이유는 억울한 일을 당하는 백성이 가여웠기 때문입니다.

    가엾은 백성을 볼 때마다 몹시 안타까웠습니다.
    글을 알면 벌을 받아야 하는지 받지 않아도 되는지 쉽게 알 수 있으니 억울한 일을 덜 당할 거라고 생각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훈민정음은 백성을 가르치는 바른 소리라는 뜻입니다. 훈민정음은 세종대왕이 1443년 창제하고 1446년 반포했습니다. 나랏말이 중국과 달라 문자와 서로 맞지 않아 어린 백성이 이르고자 하여도 제 뜻을 시러펴지 못하느니라 내 이를 어여삐여겨(불쌍하게 여겨) 새로 스물여덟자를 만드노니 사람마다 즐겨 사용하게 하노라는 문장에서 알 수 있듯이 세종대왕의 애민정신을 엿볼 수 있습니다. 말은 가까이 있는 사람에게만 통할 뿐이었기에 글로 소통하거나 기록을 남기려면 문자가 필요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종대왕이 한글 ‘훈민정음’을 창제한 이유는 당시 한자어의 경우 학습하기가 여간 까다로운데 아니었습니다.

    더군다나 하루 먹고 살기 바빴던 백성들이 한자를 배우기가 더욱 어렵고 힘을 수밖에 없었고요.

    그렇다보니 한자는 자연스럽게 양반들이 사용하는 언어가 되었고, 백성들의 문맹률은 많이 높았습니다.

    그래서 백성들이 쉽게 그를 배우고 익힐 수 있는 문자를 만들어야 겠다 라는 취지에서 훈민정음을 만드신게 되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