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화학

늘커다란잡채
늘커다란잡채

과산화수소의 일반적 존재 형태는 무엇인가요?

과산화수소의 분해 반응 화학식에서

(aq) 수용액 상태라고 적혀있는 글도 있고 (l) 액체로 적혀있는 경우도 있는데 둘 중 무엇이 맞는 것인가요? 과산화수소는 일반적으로 수용액 상태로 존재하나요? 수용액 상태로 존재한다면 (aq)도 맞는 표현 아닌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산화수소(H₂O₂)는 다양한 형태로 존재할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과산화수소는 수용액 상태로 존재하며, 이는 (aq)로 표기됩니다. 그러나 순수한 형태로는 액체 상태이며, 이는 (l)로 표기됩니다. 우리가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과산화수소는 주로 수용액 형태로 존재합니다. 이는 물에 용해된 형태로, 보통 3% 농도로 가정용 소독제나 의료용 소독제로 사용됩니다. 이 경우, 화학식 표기에서 (aq)를 사용하여 수용액 상태임을 나타냅니다. 예: H₂O₂(aq)
    순수한 과산화수소는 무색의 점성 액체로 존재합니다. 이는 고농도의 과산화수소로, 주로 산업용으로 사용되며, 강력한 산화제로 작용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화학식 표기에서 (l)를 사용하여 액체 상태임을 나타냅니다. 예: H₂O₂(l)

  • 안녕하세요. 이충흔 전문가입니다.

    과산화수소(H₂O₂)는 일반적으로 수용액 상태로 존재합니다. 따라서 (aq)는 맞는 표현입니다. 과산화수소는 물에 용해되어 수용액으로 사용되며, 수용액 상태에서 주로 화학 반응이 일어납니다. 물질의 농도에 따라 다양한 용액이 만들어지며, 이를 활용하여 다양한 용도로 사용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