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즙이 간세포 사이에 끼워진 작은 소관으로 분비된 다음 담관으로 모인다는데
총간관으로 간을 빠져나간 다음 하는 일이 뭔가요?? 소화될때는 담낭에서 십이지장으로 담즙을 분비하는게 맞나요? 빌리루빈은 혹시 무슨관련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총간관은 간에서 분비된 담즙이 간을 빠져나가게 되는 혈관입니다. 총간관은 간에서 나온 담즙이 담관으로 흐르기 전에 모이는 곳으로, 간에서 분비된 담즙이 담관으로 나가게 됩니다.
소화 과정에서는 담낭에서도 담즙을 분비합니다. 담낭은 담즙을 저장하는 작은 오르가늘로, 담즙이 소장으로 흐르게 됩니다. 식사를 하면 식욕 자극이 십이지장을 자극하여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분비됩니다.
빌리루빈은 간에서 생성되는 대사산물로서, 헤모글로빈 등의 혈색소 분해 과정에서 생성됩니다. 간에서 생성된 빌리루빈은 담즙에 혼합되어 담낭으로 이동하게 됩니다. 식사를 하면 담낭에서 분비된 담즙이 십이지장으로 이동하면서, 빌리루빈은 대장 내에서 세균에 의해 변환되어 스테르코빌리누겐 등의 색소로 변형되며 체외로 배출됩니다.
간은 중요한 생물학적 역할을 하는 중요한 기관 중 하나입니다. 간의 주요 기능은 다음과 같습니다:
담즙 생성: 간은 담즙을 생성합니다. 담즙은 소화를 돕는 기관인 췌장이 소화 효소를 분비할 때 필요한 액체입니다. 담즙은 소화 과정에서 지방을 소화하고, 소장으로 이동한 음식물을 중화시켜서 소장의 산성 환경을 조절합니다.
빌리루빈 대사: 빌리루빈은 혈중에 존재하는 대사산물 중 하나로, 빌리루빈은 간에서 생성된 후 총간관을 통해 담낭에 저장됩니다. 담낭에서는 필요할 때 담즙과 함께 십이지장으로 분비됩니다. 빌리루빈은 주로 대사산물이며, 빌리루빈 대사의 이상은 간 질환과 관련이 있을 수 있습니다.
독소 제거: 간은 혈류 중에 독소와 다양한 유해 물질을 제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간은 독소를 무해한 형태로 변환하고 체외로 배출함으로써 우리 몸을 보호합니다.
단백질 대사: 간은 단백질 대사의 중심입니다. 여러 가지 단백질을 생성하고 분해하는 과정을 조절하며, 혈중의 단백질 농도를 조절합니다.
요약하자면, 담즙은 간에서 생성되고 담낭에 저장된 후, 소화 과정에서 십이지장으로 분비됩니다. 빌리루빈은 담즙의 구성 요소 중 하나이며, 간의 기능과 관련이 있으며 간 이상이 있는 경우 빌리루빈 대사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박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간은 몸에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는 장기로, 여러 가지 기능 중 하나는 담즙 생성입니다. 간에서 만들어진 담즙은 총간관(hepatic duct)을 통해 담낭으로 이동하며, 식사 시에는 이 담즙이 쓸개관(cystic duct)과 공통담관(common bile duct)을 통해 십이지장으로 분비됩니다. 담즙은 주로 지방의 소화와 흡수를 돕는 역할을 합니다. 따라서 우리가 음식(특히 지방 성분이 많은 음식)을 섭취하면, 담낭은 신호를 받아 담즙을 분비하여 십이지장으로 보냅니다. 이 때 분비되는 담즙은 지방을 미세한 입자로 분해하여, 판-크레아스(Pancreas, 췌장)에서 생성된 소화효소가 이를 더욱 잘 소화하도록 돕습니다. 빌리루빈(bilirubin)은 간과 관련된 중요한 화합물입니다. 빌리루빈은 우리 몸의 노란색 쓰레기라고 할 수 있는데, 이것은 우리의 혈액에서 낡아버린 적혈구들이 파괴되었을 때 생성됩니다. 낡아버린 적혈구들이 파괴되면 그 안에 있던 헤모글로빈(Hemoglobin)이 해각되어 빌리루빈다. 간에서는 이 빌리루빈을 처리하여 (결합하여) 수용성 형태로 변환시키고, 이 변환된 물질인 결합형 빌리루빈다가 담즙과 함께 배설경로를 통해 몸 밖으로 배출됩니다. 결합형 빌리루빈다가 대변의 갈색색깔 원인중 하나입니다. 만약 간 기능에 문제가 생겼거나 양성답석 등 다른 문제로 인해 배설경로가 막혀서 결합형 빌리루빈다가 몸 밖으로 잘 배출되지 않으면, 이 물질이 혈액에 쌓여서 황달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이 경우 피부나 눈의 흰자가 노랗게 변하는 증상을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