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화학 이미지
화학학문
찬란한원숭이62
찬란한원숭이6223.02.28

화재 현상 중 "연료지배", "환기지배"의 차이점이 뭔가요?

화재의 현상 중에서 연료지배형이 있고 환기지배형이 있다고 합니다. 연료지배와 환기지배의 차이점이 궁금하고, 어떤 것이 더 위험한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2.28

    화재의 현상 중에서 연료지배형과 환기지배형은 화재의 원인과 발생 위치, 화재 발생 시 조건 등에 따라 나누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연료지배형 화재는 연료가 공급되는 속도가 화염의 확산 속도보다 빠르기 때문에 연료가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화재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형태의 화재는 연료의 양과 종류, 화재 공간의 크기, 환기 상황 등에 따라 화염이 빠르게 번지기 때문에 불길이 커져서 다른 재산에 빠르게 확산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에 환기지배형 화재는 공기의 유입이나 배출이 지배적인 역할을 하는 화재를 의미합니다. 이러한 화재는 공간 내부에 산소 공급이 부족하거나 화재 공간 내부의 온도나 압력 등이 급격하게 상승하여 환기가 필요한 경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화재는 화염이 제한적으로 번지는 경향이 있으나 공기 유동 상황에 따라 불길이 번지는 방향이 바뀔 수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것이 더 위험한지는 화재의 원인과 조건에 따라 다를 수 있습니다. 연료지배형 화재는 화재 발생 후 불길이 빠르게 번지기 때문에 불꽃이 다른 재산에 빠르게 확산되어 큰 피해를 줄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에 환기지배형 화재는 화재 발생 후 공간 내부의 온도와 압력이 급격하게 상승하여 환기가 필요한 경우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인명 피해가 큰 가능성이 있습니다.

    따라서, 어떤 화재에 대해서도 불안전한 상황에서는 즉각적인 대처가 필요합니다. 화재 발생 시에는 적극적인 대피와 화재 진압을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연료지배형 화재란 연료, 즉 가연물의 지배를 받는 화재를 말합니다.

    주로 목재건축물과 같은 가연성 자재로 지어진 건축에서의 화재의 성상인데 이 화재의 특징은 화재가 발생한 시점으로 부터 급격하게 연소가 진행이 되며 화재온도가 급격하게 증가하게 됩니다. 그리고, 가연물의 양에 따라 지배를 받습니다.

    환기지배형 화재란 산소공급원의 지배를 받는 화재를 말합니다.

    주로 내화구조인 건물에서 발생하는 화재의 성상으로 화재가 발생한 시점에서 서서히 연소가 진행이 되며 온도 또한 서서히 증가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습니다.

    어느 것이 더 위험하다고 말하기 어려운데요, 연료지배형은 처음부터 강한 불이 발생하지만, 환기지배형은 플래시 오버, 백드래프트와 같은 개구부에 따라 발생하는 현상이 생기며 급격하게 위험해지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연료지배(fuel-controlled) 화재는 연소체(연료)의 공급이 부족하여 산소와의 반응 비율이 적은 경우 발생합니다. 이러한 화재에서는 연소체가 고갈될 때까지 화염이 작아지거나 꺼지지 않고 계속 발생합니다. 따라서 연료지배 화재에서는 연소체 공급을 차단하거나 제거함으로써 화재 진압이 가능합니다.

    반면에 환기지배(ventilation-controlled) 화재는 연소체의 공급은 충분하지만 산소 공급이 제한되어 발생합니다. 이러한 화재에서는 공기의 유동성이 적은 공간에서 발생하기 쉽습니다. 환기가 부족하면 연소체와 산소의 반응 비율이 높아져 열방출량이 증가하고, 화염이 커지며 확산 속도가 빨라집니다. 따라서 환기지배 화재에서는 환기를 적절히 조절하여 연소체와 산소의 반응 비율을 낮추는 것이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환기가 원활할수록 산소가 풍부하여 가연물의 양이 연소상황을 지배하는 연료지배형화재 입니다.


    그리고 반대로 가연물은 충분한데 환기가 원활하지 못하여 산소양이 부족하면 환기지배형화재의 양상을 보이게되죠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