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알뜰한박새245
알뜰한박새245

왜 우리의 세상은 자본주의 세상이 됐나요?

뭔가 세상이 가면 갈수록 점점 더 자본주의 세상이 되어가는 것 같습니다. 그러다 보니 돈이 없는 사람과 돈이 많은 사람들이 할 수 있는 것들이 확연히 차이가 나죠. 왜 이렇게 자본주의 세상이 됐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재철 경제전문가입니다.

    시장경제가 발달하고 사람들은 자본을 통해 더 많은 이익을 추구하게 되었고,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자본의 중요성이 커졌어요. 자본이 많을수록 더 많은 기회를 가질 수 있는 구조가 된 거같아요.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왜 우리의 세상이 자본주의 세상이 되었나에 대한 내용입니다.

    사실 역사적으로 보면 공산주의도 있었고 자본주의도 있었지만

    거의 자본주의국가들만 남은 것을 보면

    결국 자본주의가 그래도 가장 인류가 원하는 제도에 가까운 제도라고 보여집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미국의 자본주의 체제와 러시아의 사회주의 체제가 서로 맞붙었고 편이 갈렸습니다

    • 동독 서독이 나뉜 이유도 이런 체제의 차이 때문에 나뉜 것입니다

    • 그 뒤로 자본주의 체제에 있는 국가들의 성장율이 더 높았고 더 잘살게 되었기 때문에

      더 우월한 체제로 대세가 된 것입니다

    • 물론 완벽한 체제가 아니기 때문에 부작용으로 말씀하신 빈부격차가 생기게 되었지만

      이는 정부가 개입하여 시장실패를 개선하는 방법이 적용될 것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아무래도 사회주의와 같은 경우에는

    이론적으로는 이상적이나 사람의 근로의욕을

    상당히 떨어뜨리는 등 이에 따라서 보다 효율적인

    자본주의가 부작용은 있지만 긍정적인 부분이 더 크기에 우리 사회에

    적용되었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정진우 경제전문가입니다.

    세상이 자본주의로 변한 이유는 산업혁명과 관련이 큽니다. 산업혁명 이후, 공장과 기업들이 발전하면서 생산성이 높아졌고 사람들이 더 많은 물건을 사고팔 수 있는 시장이 필요해졌습니다.

    자본주의는 개인의 이익 추구를 바탕으로 경제를 발전시키는 방식이기 때문에 많은 나라들이 이 시스템을 선택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자본주의의 특성상 부의 불균형이 생길 수 있어 돈이 많은 사람과 적은 사람 사이에 차이가 커질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경제전문가입니다.

    사람마다 차이가 있소 그 차이로 인해 차별이 존재해야 사람이라는 존재는 더 높은 곳을 향해 열심히 살게 되고 그런사회가 유지되야 모든 부분이 발전할 수가 있습니다. 모두가 똑같이 돈을 받는다면 그 누구도 열심히 일하지 않을 겁니다.

  • 안녕하세요. 강성훈 경제전문가입니다.

    1800년대 후반 이후 기존 절대왕정 내지 권력에 따른 신분주의 시대가 쇠퇴하며 자본주의와 공산주의의 대립이 커졌습니다.

    이념간 대결 결과 사회 발전 및 성장에 있어 자본주의가 더 긍정적인 효과를 가져왔고, 이로 인한 폐해를 최소화하고자 정부의 사회부조 역할이 커지고 있습니다.

  • 사회학적, 경제학적, 철학적으로 다양한 해석이 가능한 복잡한 주제이지만 아무래도 자본주의가 경쟁을 극대화해 기술개발과 생산성 향상을 최적화 할 수 있는 체제인 것이라 그런것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