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C 소자 상태 때 주접점 R U간 전압 220은 왜?
안녕하세요. 전기 뉴비입니당. 380V가 인가되는 회로에 MC가 소자될 시 , 주접점 R -U간 전압이 220V가 측정됩니다. 이게 당연하다고 그러시는데 왜 당연한건지 이해가 잘 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질문자님께서 관찰한 220V 전압은 전원과 부하의 특성에 기인합니다. 380V 3상 시스템에서는 3개의 전선 사이에 380V가 존재합니다. MC가 소자된 상태에서는 부하 쪽 전압이 없어도 회로의 중립점이나 다른 회로를 통해서 코일이나 용량성 부하 등의 잔류 전압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또한, 380V 3상 전압을 각 상당 전압으로 나누면 약 220V가 됩니다. 이는 각 상과 중성선(N) 간의 전압을 말하는 것이며, MC 소자 상태에서 R-U 간 연결이 의도치 않게 형성되면 220V가 측정될 수 있습니다. 이를 방지하려면 시스템의 정확한 접지 및 결선 상태를 확인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강세훈 전문가입니다.
380V 삼상 회로에서 MC가 소자될 때, R-U 간 220V가 측정되는 이유는 상간 전압과 상전압의 관계 때문입니다. 삼상 회로에서 상간 전압은 380V, 상전압은 220V이며, MC 소자 상태에서는 주접점이 열려 전류는 흐르지 않지만, 상간 전압 차이에 의해 220V가 측정됩니다. 이는 자연스러운 현상으로, 회로 설계와 전압 특성에 따른 결과입니다.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마그네틱 접촉기는 일반적으로 AC전원에서 작동합니다.
이는 MC의 코일에 인가되는 전압은 일반적으로 220V로 설계되어 있으며,
이 코일에 전원이 인가되면, 접촉기가 작동하여 주접점에 연결됩니다.
주접점 R-U간의 전압이 220V로 측정되는 것은 코일이 정상적으로 작동함을 나타 냅니다.
전원이 인가되면 MC의 코일에 220V가 인가되며, 코일이 자기를 형성하여 주접점을 닫습니다.
이과정에서 R-U간 에 220V가 흐르게 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380V 회로는 3상 전압으로, 상간 전압은 380V이고, 상과 중성선 사이의 전압은 220V입니다. MC가 소자되면, 주접점이 열려 전류가 흐르지 않지만, 전압은 그대로 측정됩니다. 이때 R-U 간 전압이 220V로 측정되는 이유는 U 상이 전압의 기준점으로 동작하기 때문입니다. 즉, 회로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상-중성 전압은 남아 있는 것이 정상입니다. 이는 회로 설계와 전압의 기본 특성 때문으로 이상이 아닌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안녕하세요. 전기전자 분야 전문가입니다.
MC가 소자되면 주접점이 열린 상태가 되어야 하는데, 주접점 R-U 간의 전압이 220V로 측정되는 이유는 회로가 삼상 교류 회로이기 때문입니다. 삼상 회로에서는 각 상 사이의 전압(상간 전압)이 380V이고, 각 상과 중성선 사이의 전압(상전압)은 220V입니다. R과 U 각각이 다른 상에 연결돼 있을 경우, 두 상 사이의 전압 차이 때문에 220V가 측정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이라면 정상적으로 운영되고 있는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만약 다른 의문 사항이나 추가적으로 필요한 정보가 있다면 언제든지 질문해 주세요. 좋은 하루 보내시고 저의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