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구름이 생겨나는 원리와 구름이 사라지는 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구름이 생겨나는 원리와 구름이 사라지는 원리는 어떻게 되나요?

구름은 왜 생기는 것이며 구름은 도대체 어디로 사라지는 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 김칠영 박사
    김칠영 박사
    공주대학교 명예교수

    안녕하세요. 김칠영 박사입니다.

    구름은 대기중의 물이 증발되어 수증기 형태로 높은 고도까지 상승하게 됩니다. 기온이 차가워지면 수증기가 작은 물방울 형태로 공기중에 떠 있게 되는데, 이것이 구름입니다. 구름은 비가 되어 내리기도 하고, 바람의 영향으로 이동하여 사라지기도 하겠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박조훈 전문가입니다.

    공기가 상승하면서 차가워지면 수증기가 응결합니다. 예를 들어, 태양의 열로 지표면이 가열되면 공기가 상승하게 됩니다. 높은 곳으로 올라갈수록 기온이 낮아지기 때문에, 공기 중의 수증기가 냉각되면서 응결하게 됩니다. 공기가 일정 높이까지 올라가면, 온도가 이슬점에 도달하게 됩니다. 이슬점은 공기가 포화 상태에 도달하여 수증기가 물방울로 변할 수 있는 온도를 말합니다. 이 때, 공기 중의 수증기가 작은 물방울로 변하면서 구름을 형성합니다. 구름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응결핵이라는 입자들이 필요합니다. 이 입자들은 공기 중에 있는 미세한 먼지, 소금, 재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 주위로 수증기가 응결하면서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을 형성하게 됩니다. 구름이 사라지는 주요 원인은 구름 속의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이 다시 증발하는 것입니다. 공기가 건조해지거나 온도가 높아지면, 구름 속 물방울들이 수증기로 변해 사라집니다. 공기가 상승할 때 구름이 형성되는 것과 달리, 공기가 하강하면 구름 속의 물방울들이 온난한 공기층에 도달하게 되어 증발하게 됩니다. 하강 기류는 고기압 구역에서 흔하게 발생하며, 이로 인해 구름이 흩어지거나 사라지게 됩니다. 구름 속 물방울들이 더 큰 물방울로 합쳐지면 무거워져 비나 눈으로 떨어지게 됩니다. 이렇게 강수로 인해 구름의 일부가 사라지기도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