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 체온보다 낮은 기온에서 더위는 왜 느끼는 건가요?
인간은 체온유지에 많은 에너지를 사용하는 항온동물이잖아요? 그렇다면 체온 유지에 에너지를 쓰지 않아도 좋은 환경에서 가장 쾌적함을 느낄거같은대 기온 30도 언저리가 가장 인간 체온과 가까운 온도인대 왜 인간은 더위로 힘들어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이영훈 세무사입니다.
체온보다 낮은 온도에서도 상쾌함 대신 덥다고 느끼는 이유는 30도 부근에서 몸에서 열을 방출하기가 어렵기 때문입니다.
사람의 내부온도는 36.5도 이지만, 외부 온도는 30도 정도를 유지하고 있습니다.
사람은 체온 유지를 위해 열을 만들기도 하지만, 불필요한 열을 방출할 필요도 있습니다.
기온이 낮으면 이런 열 발산이 쉽지만, 기온이 높아지면 몸의 열을 발산하기가 어려워집니다.
그래서 몸은 더위를 느끼고, 우리 몸이 더 낮은 온도로 이동하도록 만드는 것입니다.
결론: 몸의 내부 온도와 열을 방출하기 위한 주변 온도는 개념이 다르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더위를 느끼는 이유는 체내의 열이 배출되지 못해서 입니다.
체내의 열을 배출하는 방법으로는 땀을내고 땀이 증발하면서 열을 가져가는 효과를 노립니다.
그러나, 날씨가 덥고 습하면 증발이 잘 되지 않으면서 체내의 열을 배출하지 못합니다.
따라서, 더 많은 더위를 느끼고 더많은 땀을 냅니다.
땀이 많이 날 수록 체내의 수분이 줄어들면서 탈진효과를 가져와 힘들어 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1명 평가인간에게는 온도를 감지하는 세포가 존재합니다. 이 세포는 상대적인 온도를 감지하여 덥다 춥다를 판단하죠. 보통 21~26도의 온도와 40~50% 정도의 습도에서 쾌적함을 느낍니다. 기온이 30도가 되면 신체는 더위를 느끼고, 우리나라 기후적으로 습도가 높아집니다. 그래서 쾌적함을 느끼지 못하고 불쾌함을 느끼는 경우가 많습니다. 온도도 쾌적한 환경에 주요한 요소지는 습도도 중요한 요소중 하나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