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 예정일이나 일주일전 피임약 효과
생리 예정일이 지났는데도 생리를 안해서 예정일이 지났는지 생리 직전이었을진 모르겠습니다. 하튼 그 시점부터 18,19일간 경구피임약 꾸준히 복용하였다 해도 생리시작일에 먹지 않았으니 피임효과가 없다고 봐야하나요? 관계시에 콘돔 사용을 안하는등 불완전하게 피임을 해서 조금 걱정됩니다
또 관계하기 5일 전에 산부인과에서 초음파를 봤는데 생리혈이 약을 다먹으면 곧 나오려고 고여있다고 했습니다. 이게 배란이 되지 않았으니 생리혈이 고인거고, 때문에 임신하기엔 좋지 못할 환경이라 해석하기엔 무리일까요?
안녕하세요. 아하의 의료상담 전문가 의사 김민성입니다. 질문해주신 내용 잘 읽어보았습니다.
피임약은 일반적으로 생리 시작일에 복용을 시작해야 가장 효과적입니다. 그러나 이미 복용을 시작하셨고, 매일 꾸준히 복용하셨다면 일정한 피임 효과는 기대할 수 있습니다. 다만, 생리 시점에 시작하지 않은 경우 처음 몇 주간은 다른 피임 방법, 예를 들어 콘돔과 같은 추가적인 방법을 병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관계 시에 콘돔을 사용하지 않았다고 하셨으니, 피임 실패의 가능성이 조금 올라갈 수 있습니다.
초음파 검사에서 생리혈이 고여 있다고 말했다면, 이는 아직 배출되지 않은 혈액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는 배란이 되지 않았거나 다른 요인으로 인해 생리가 지연될 수 있다는 해석이 가능합니다. 그러나 이 자체만으로 임신 가능성이 없는 환경이라고 단정 지을 수는 없습니다. 몸 상태는 복합적으로 작용하므로, 임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하긴 어렵습니다.
다음 생리 주기를 모니터링하시고, 생리가 계속 지연된다면 임신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임신 테스트기를 사용하시거나, 추가적인 산부인과 상담을 고려해 보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저의 답변이 궁금증 해결에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경구피임약(멜리안정)을 생리 시작일부터 복용하지 않고 생리 예정일 즈음이나 이후부터 복용한 경우, 초기 7일 이상은 피임 효과가 완전히 보장되지 않기 때문에, 이 기간 중 콘돔 등 다른 피임 방법 없이 관계가 있었다면 임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습니다.
피임약 복용 첫날이 생리 첫날이 아닌 경우, 특히 생리가 지연되고 배란 주기가 불확실한 상태였다면 피임 효과가 불완전할 수 있어요. 다만 이후 18~19일간 꾸준히 복용했다면 점차적으로 피임 효과는 안정화됩니다.
산부인과에서 초음파 검사 시 “생리혈이 고여 있다”는 표현은 보통 자궁 내막이 탈락을 기다리는 상태, 즉 배란 이후 생리가 임박했거나, 무배란 상태에서 내막만 쌓인 경우일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엔 정상적인 배란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가능성도 있어, 수정이 되기 어려운 환경일 수는 있지만, 초음파만으로 임신 가능성을 단정 지을 순 없습니다.
걱정이 된다면 피임약 복용이 끝난 뒤에도 생리가 오지 않거나 불규칙할 경우, 임신 테스트(약 복용 후 최소 2주 후)를 통해 확인하고 필요시 추가 상담을 받아보는 게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