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고상한호아친123
고상한호아친12324.04.01

자연 현상에서 라니냐 현상은 어떤 것을 의미하나요?

기후 이상 이야기가 나오면 빠지지 않고 언급되는

현상 중에 하나가 라니냐 현상인 것으로 보이는데

라니냐 현상은 어떤 현상을 의미하게 되나요?

그리고 어떤 영향을 받게 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라니냐 현상은 태평양 동부의 바다 표면 온도가 평년보다 낮아지는 현상으로, 이는 바람의 방향과 강도 변화에 따른 것입니다. 일반적으로, 태평양에서는 동쪽에서 서쪽으로 바람이 불면서 표면의 따뜻한 물을 서쪽으로 밀어붙입니다. 그 결과, 동쪽에서는 깊은 바다에서 차가운 물이 올라와 표면의 온도를 낮추게 됩니다.

    라니냐 현상은 엘니뇨의 반대 개념으로, 엘니뇨가 발생할 때는 바람이 약해져 아메리카 대륙에선 따뜻한 해수가 지속되고 차가운 해수 용승이 약해집니다. 이 현상은 1600년대 페루 해안가 어부들에 의해 처음 관찰되었습니다. 엘니뇨가 발생하면 차가운 해수가 아메리카 해안으로 충분히 용승하지 않아, 이러한 차가운 하층 해수엔 물고기의 식량원이 되는 영양분이 풍부하게 있습니다. 그 결과 오징어나 연어 등 해양 생물종의 식량이 줄어들어 남미에선 어획량이 감소합니다.

    라니냐 현상은 지구의 날씨 패턴을 변화시키며, 기후 변화와도 관련이 있습니다. 엘니뇨와 라니냐는 평균적으로 2~7년마다 발생하며, 한 번 발생 시 보통 9~12개월 지속됩니다. 이러한 현상은 전 세계 인프라, 식량, 에너지 시스템 등에 영향을 미칩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엘니뇨 현상과는 반대되는 현상입니다. 적도 무역풍이 강해지면서 적도 부근의 서태평양 해수 온도는 평년보다 상승하게 되고, 동태평양 해수 온도는 저온이 되는 해류의 이상현상을 의미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지호 과학전문가입니다.

    라니나란 적도 동태평양 해역의 월평균 해수면온도가 6개월 이상 지속적으로 평년보다 0.5℃ 이상 낮은 상태를 가리키는 지리학용어입니다. 라니냐 발생 시에는 동남아시아와 오세아니아, 남아프리카에는 홍수가 잦아지고 반대로 남아메리카 태평양 연안 사막은 평소보다 더 건조해져 가뭄이 발생합니다. 또한 동남아시아,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 연안에는 한파가 발생하고, 호주에는 이상 고온이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라니냐 현상은 태평양 열대 지역에서 발생하는 기후 현상으로, 열대 동부 태평양의 수온이 정상보다 낮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로 인해 태평양 지역의 기압 분포가 변화하고, 기상 조건이 변동하게 됩니다. 라니냐 현상은 엘니뇨 현상과 반대로 작용하며, 전 세계적으로 기후 변화를 일으키는 영향을 미칩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라니냐 현상은 태평양 적도 부근 동부 해역의 해수면 온도가 평년보다 0.5℃ 이상 낮아지는 현상을 말합니다. 이는 무역풍이 강해져 동쪽으로 밀려갔던 따뜻한 물이 서쪽으로 밀려가면서, 차가운 심해수가 상승하여 발생합니다. 라니냐는 엘니뇨 현상과 반대로 작동하며, 전 세계 기후에 영향을 미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적도 무역풍이 평년보다 강해져 서태평양의 해수면과 수온이 평년보다 상승하고, 찬 해수의 용승 현상으로 적도 동태평양에 저수온 현상이 나타난다. 엘니뇨와는 반대 현상인 것이다.

    열대 중부 지방의 태평양 해수면 온도가 평소(3개월 이동평균한 해수면 온도)에 비해 섭씨 0.5도 이상의 차이가 나게 더 차가운 상태로 5개월 이상의 기간 동안 지속될 때 이 같은 명칭을 사용한다.

    엘니뇨와 마찬가지로 라니냐는 정상의 상태가 아니므로 기상이변을 초래할 수 있다. 여름에 라니냐가 발생하면 동남아시아, 인도, 페루를 비롯한 남미 서해안지역 등에서 저온현상이 나타나는 경향이 있다. 또 호주 북동지역은 반대로 고온현상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으며, 인도는 폭우가 늘어날 가능성이 커진다.

    겨울철에 발생하면 여름철보다 기후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 동남아시아와 브라질 북부 지역은 평년보다 강수량이 늘고, 미국 남부지역은 이상고온 현상이 나타난다. 또 미국 서부와 캐나다 서해안 지역은 기온이 떨어지면서 한파가 늘어나는 경향이 있다. 중국 남부지역은 강수량이 줄어들고 일본은 평년보다 추운 겨울이 나타날 가능성이 높아진다.

    출처 : 위키백과 - 라니냐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라니냐 엘리뇨 모두 기후상승으로 인해 생기는 기상현상인데요. 라니냐는 적도 무역풍이 평년보다 강해지면서 생기게 되는데요. 이렇게 무역풍의 강화로 인해 서태평양의 해수면과 수온은 평년보다 상승하게 되고, 찬 해수의 용승 현상 때문에 적도 동태평양에서 저수온 현상이 강화되어 생기는 현상을 지칭합니다. 정상적인 기후 상태에서는 일반적으로 인도네시아와 열대 태평양 서쪽 지역에서 강수가 많고, 적도 태평양 동쪽에서는 강수가 적은 편입니다. 그러나 라니냐 현상이 발생하면 평년기온은 낮아지고 비가 적게오므로 인해 가뭄현상이 일어나게 되어 동태평양 지역에 위치한 나라들의 농작물생산에도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