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droid studio에 svn을 연동하려 합니다.
android stuido 와 svn 연동은 구글링을 검색해보더라도 글들이 2015, 2016년도뿐이고
글들 이미지를 보면 현재의 android studio 버전과 달라 설정도 조금 다른것 같습니다.
무튼 svn을 연동하려하는데 eclipse 와 달리 파일구조도 달라서 visual svn을 사용하여
single-project repository 로 생성하여 개발을 진행하면 어떤부분이 장점이 되는지 질문드립니다.
Single-project repository는 프로젝트 하나를 위한 저장소입니다.
Git의 Branch, Tag와는 기능상의 차이가 있지만, SVN에서도 비슷하게 쓸 수 있습니다.
SVN의 표준적인 폴더 구조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첫번째는 Single project repository로 루트에 폴더 세 개가 있습니다.
/trunk는 Git의 master 브랜치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
/branches는 (/trunk를 제외한) 브랜치(각각 폴더)들을 넣는 폴더,
/tags는 태그(각각 폴더)들을 넣는 폴더입니다. (브랜치와 기능상의 차이가 없습니다.)
두번째는 루트에 프로젝트별로 폴더를 만들고, 각 폴더를 첫번째의 루트처럼 쓰는 것입니다.
Single project repository는 branch, tag 기능을 사용하면서 프로젝트가 하나일 때 적합합니다.
하지만 branch, tag를 사용할 것이라면 그 기능을 더 잘 지원하는 Git이 더 좋을 수도 있습니다.
branch, tag 기능을 사용하지 않거나 프로젝트가 여러개라면 Single project repository가 적합하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