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로고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성큼성큼걷는펭귄836
성큼성큼걷는펭귄83623.01.19

제주방언의 특이점은 언제 알려졌나요?

제주도는 육지와 달리 전통 방언의 경우 일반사람들이 전혀 알아들을 수 없을 정도로 다른데요

이런 특이점이 최초로 보고된 것은 어제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제주에 대한 기록은

    1500년대부터 시작되었다고

    하며, 당시 조선시대 말과 달리

    표현되었다가 몇 백년동안

    육지어가 유입되면서 바뀌게

    되었답니다.


  •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제주는 섬이라는 지역적 특색 때문에 제주사람들의 삶의 양식인 전통문화는 지나온 시간만큼 다양하고 광범위하다. 탐라국 시대부터 오늘날까지 이어온 기층문화는 외세 강점 문화, 표류문화, 유배문화 등의 대륙문화와 해양문화가 통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주문화를 몇 마디 말로 집약한다는 것은 쉽지도 않으며, 가능하지도 않다.

    제주방언은 제주의 다양한 전통문화 중에서도 가장 제주적인 문화의 원형을 읽을 수 있는 것이다. 제주방언은 평안방언, 함경방언, 경기방언, 전라방언, 경상방언과 함께 국어의 여섯 개의 대방언권에 속한다. 이는 제주방언이 그만큼 독특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제주방언이 국내 어느 방언보다 희귀한 존재로 인정되고 국어학사상 가장 귀중한 학술자료로 평가받고 있다. 이유인즉, ‘․’를 비롯해서 예스런 음운과 풍부한 어휘를 갖고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배경도 원인을 살펴보면, 왜구의 침입으로 자체 방어력을 유지한다는 명분으로 실시된 출륙금지령(1629-1830)으로 200년 동안 외부지역으로 제주도서민이 이주의 자유마저 박탈당한 채 폐쇄적인 생활이 강요되었던 눈물의 역사의 산물이다.

    제주방언 또한 다른 지역의 방언과 마찬가지로 독특한 지리적 환경과 역사적 배경에 이해 형성되고 전개되어 왔다. 제주도는 모두 알고 있듯이 도서지역이라는 지리적 특수성을 갖고 있다. 이는 해로상 북방문화와 남방문화를 모두 수용하기에 좋은 동북아시아의 중심지라는 것이다. 또한 제주지역 내에서도 음운적인 면과 문법적인 면에서의 지역차는 거의 없으나 어휘적인 측면에서는 북부와 남부, 동부와 서부, 해안과 중산간 간에 지역차를 보인다. 그만큼 제주사회의 문화는 복잡하게 얽혀 있음을 증명하는 것이다.

    한편, 제주는 삼다(三多)의 섬으로 불린다. 바람, 돌, 여자가 많다는 이유이다. 이 중에서도 바람이 언어의 억양에 미친 영향은 크다. 또한 제주사람들은 바람이 특히 많은 해변지역을 중심으로 마을이 형성되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자연스레 큰 목소리로 말하고 언어는 짧은 음절이 발달하였다. 예를 든다면, 국어학자들의 연구에서 증명하고 있듯이 ‘매미’를 나타내는 방언이 중산간 내륙지방에서는 ‘재열’이라는 2음절 단어가 우세하였고, 해안지방에서는 ‘잴’, ‘잘’등 1음절 단어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제주언어문화는 관광산업을 생명산업으로 삼고 있는 제주지역민들에 대한 관광객들의 큰 오해를 불러 일으켰다. 크고 짧은 둔탁한 언어는 퉁명스럽고 불친절하다는 제주사람들의 첫인상을 낳게 한 원인이었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이러한 언어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고 제주방언을 접한다면 훨씬 제주방언이 부드러울지도 모른다. 제주방언 중에서도 귀여운 단어들이 많이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