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역사

굳센때까치29
굳센때까치29

세계2차 대전 종료 이후 우리나라의 재건과 발전은 어떻게 이루어졌나요?

세계2차 대전은 전범국들이 항복 선언을 하고 끝이났잖아요. 마찬가지로 일본도 우리나라에서 쫓겨나게되는데, 이후 우리나라가 어떤 과정을 거쳐 재건되었고, 어떻게 발전해 나갔는지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3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수줍게웃는타킨108
    수줍게웃는타킨108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정부는 도로, 항만, 발전소와 같은 인프라에 대한 막대한 투자를 포함하여 경제성장을 촉진하기 위한 일련의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정부는 또한 외국인 투자를 장려하는 정책을 시행하고 외국 기업을 유치하기 위해 경제 특구를 만들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45년 한국의 독립은 미국의 히로시마 나가사키에 원자폭탄 투하로 상해 임시정부의 광복군의 참전이 무산되면서 독립국의 지위를 갖지 못한 채 조국 광복이 이루어졌습니다. 모스크바 3상회의 한국민이 자치 능력을 갖출 때까지 5개년 신탁통치를 실시한다고 했을 때 전 국민은 분노하였습니다. 그러나 북한에서는 찬탁으로 돌아서면서 남북의 분열양상을 보이게 되었고 남한은 3년 동안의 군정이 끝나고 1948년 8월 15밀 대한민국이 수립되고 북한은 1948년 9월 9일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 수립되어 대립하게 됩니다. 남한은 지하자원도 없는 자원부족으로 전력 등을 북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습니다. 그러나 1960년대 들어와 외국의 차관과 원조를 바탕으로 경공업에 중화학공업을 우선하고 과학기술의 발달로 눈부신 성장을 이룩하면서 독일 라인강의 기적에 버금가는 한강의 기적을 이루게 됩니다. 이는 자기를 희생하고 오로지 회사와ㅇ국가발전을 위해 노력한 산업화의 일꾼들이 일꿔낸 것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런 혜택을 고스란히 누린 대기업들은 마치 자기들의 노력으로만 성공한 거처럼 성과분배에 혈안이 되어있고 차관으로 들어온 돈을 갚아나가고 있는 국민들에게 관심이 없습니다. 사회적 재분배를 통해 사회적 약자에 대한 관심과 배려가 필요할 때이며 보다 나은 사회로 가는 길이라고 봅니다. 한국의 눈부신 성장은 걷보기에는 대기업의 성공으로 보이지만 거기에는 노동자 농민들의 저임금과 저곡가 정책에 따른 희생이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임을 잊지 말아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유영화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제 강점기 일제의 북부지방 중심의 식민지 공업화 추진으로 광복과 분단 직후에는 남한은 더욱 경제적으로 어려웠습니다.

    미군정 시기 경제 실정과 6.25 전쟁으로 남한은 폐해 상태였습니다. 한·미 원조 협정 체결(1948.12)로 한국의 경제적 위기 극복을 위해 국력 부흥 촉진하며 안정 확보한다는 목적 아래 미국 정부가 앙여농산물인 밀, 면화, 원당을 무상으로 제공하였습니다. 이에 따라 제분,방직업,제당 산업이 성장할 수 있었습니다. 그러나 50년말 유상 전환으로 경제 위기에 봉착하자 경제 개발 7개년 계획을 수립합니다. 그러나 4.19혁명으로 불가능하게 되고 장면정부가 수립된 5개년 계획은 5.16 군사 정변 이후 1962년 추진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