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수려한들소132
수려한들소13224.04.24

입원치료 중 할머니 성격이 바뀌었어요

나이
87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사진참고
기저질환
신우신염, 심부전(부정맥), 골다골증, 단순 손떨림

할머니 연세는 87세 입니다


3월 말쯤 반복적인 오한과 기침이 심하고 감기몸살 같은 증상이 있어서

내과에 방문해서 코로나, 독감검사를 받았는데 다행히 아니여서

의사선생님이 감기몸살과 기력이 떨어져서 그런거 같다며 약 처방을 해줬습니다

처음에 약을 먹고 증상이 호전되는가 싶더니 똑같아서

다른 병원에 다시 방문하고 검사받았으나 마찬가지로 몸살이라며 약을 처방해줘서

일주일간 병원+약을 먹으며 간호했는데


혼자서 화장실도 못갈 만큼 몸을 가누지 못해4월4일 종합병원 응급실에 실려가 MRI, CT, 피검사, 소변검사 등을 받고

신우신염(콩팥염증)이 심해서 콩팥크기가 2배 이상 커졌고

염증 수치가 16이라서 2주간 입원치료를 받았습니다


병원에 2주간 입원하니깐 그동안

기존에 가지고 있던 심부전(&부정맥), 골다골증, 단순 손떨림 치료도 함께 받았고

2주 동안 기력은 없어도 점점 입맛도 돌아오고

상태도 좋아져서 퇴원할 날만 기다렸습니다


16일날 퇴원을 위해 피검사와 CT를 찍었는데

피검사에선 괜찮았는데 CT에서 염증 주머니가 아직 정상수치가 아니여서

주사치료+항생제를 바꿔서 2주간 더 입원을 해야 한다고 해서 입원기간이 늘어났습니다


입원실이 없어서 중환자 병동에 입원했고 보호자 상주X, 간병인X 없이

간호사가 간병일 일까지 해주고 면회시간에만 면회할 수 있었으나


오전 면회시간 1시간, 오후 면회시간 2시간

매일 하루도 빠짐없이 면회시간 꽉 채워서 모든 가족들이 할머니 찾아뵙고

건강 체크하고 먹고 싶다는건 매일 가지고 가서 먹이고

전화도 수시로 했기 때문에 언제 성격이 바꼈는지 확실합니다

(입원2주 이때까진 기력이 없을뿐 평소 할머니였어요)


원래 성격은 정말 인자하시고 조용하고, 나긋나긋하게 말씀을 하시고

아직 소녀스러운 성격이라 부끄러움도 많고 평생을 목소리를 크게 말하거나

다른 사람을 나쁘게 말하거나 욕도 한번 사용해본 적이 없으신데

17일을 기점으로 할머니 성격이 완전히 달라졌습니다

면회시간 40분만 지나도 피곤한 기색이 역력하고 그만 들어가서 쉬고 싶다고 하셨는데

17일 부터 면회시간이 끝나도 들어갈 생각을 안하고 면회시간 한시간은 기본으로 더 초과하

면회시간 내내 1분도 쉬지 않고 말을 하고 대화가 안이어지고 헛돌더라고요

평소에 보지 못했던 모습이었지만 퇴원한다고 기분이 업되셨나 싶었는데

(퇴원한다고 기대잔뜩 하고 계셔서 실망할까봐 바로 얘기 못하고 18일날 얘기함 )

지금 까지 쭉 이어져 오고있어요

- 갑자기 아드레날린 폭발한 것 처럼 기력도 좋아지고 말이 30배나 많아짐...

그냥 두면 2시간이고 쉬지 않고 말함

- 했던 말을 계속 반복적으로 함. 한 이야기 마다 20번도 넘개 들음

- 현재 얘기 1%도 안되고 나머진 전부 20년~60년전 과거얘기

- 질문하면 질문에 대한 답을 안하고 다른얘기를 계속함. 똑같은 질문 서너번 반복해야지 답하는데

그것도 질문에 대한 답이라고 하기엔 애매함

- 대화가 아니라 일방적으로 말하고 진정시키고 말을 하면 있어봐라면서 본인얘기만 함

- 대화를 문장 전체가 아니라 키워드로 인지하고 답함

예를 들어 호박죽 먹고있어서 호박죽 맛 괜찮아요? 물어보면 질문에 대한 답이 아니라

<호박죽>에 대한 과거 이야기를 10~20분간 함

- 공격성+욕설 사용

귀싸대기를 날릴거다 발로 차줄거다 하고, 가족들을 흉봄. 욕했다가 좋아한다 했다가 ...

- 불만을 많이 말하고 자기 비하적인 말을 많이함

빼빼 바르고 머리도 빠졌고 이도 없어서 자기를 무시한다, 노인취급한다, 병신취급한다

치매환자 취급한다 하면서 자기 비하를 심하게 함(이 이야기도 50번은 함)

가족들 모두 할머니한테 지극정성으로 대하지 그런 취급한적 없음 ㅠㅠ.............

- 남한테도 말 잘 못하고 간호사한테 물어보는 것도 못해서 가족들이 대신 얘기해주고 했는데

간호사, 의사도 붙잡고 수십분 얘기함

다들 바쁘니 적당히 들어주고 말 끊으면 자기 말 안들어준다고 기분나쁘다고 전화해서 고자질 하면서 욕하고

다음에 만나면 귀싸대기를 때릴거니 발로 차줄거라면서 말함

- 처음 2주간 입원했을땐 기력이 없어서 혼자 화장실 가기가 어려운 상태라 성인용 패드를 찾고 있었는데

점점 좋아져서 혼자서 화장실도 갈수 있었다가 성격이 바뀌고 혼자 화장실 갔다가 변기뚜껑을 안열고 소변을 보기도 하고

소변을 지려서 다시 기저귀를 차게 됨

- 간호사가 아무도 없는데 혼자 말하는걸 발견, 원래 성격이 워낙 조용하고 얌전했는데 성격이 바뀌니 이상한 걸 간호사들도 느껴서 담당의한테 보고

그래서 19일날 신경과에서 진료를 보고 의사선생님과 면담을 했는데

병이나 그런건 아닌거 같고 불만과 불안이 큰것 같고 심리적인 요인 같다며

항생제 때문에 더 그럴 수 있다고 항생제 빼고 신경안정제를 추가하고 경과를 지켜보자 해서

지켜보고 있는데 여전히 그런 상태입니다.

이제 약 뺐으니 괜찮겠지 했는데 그러고도 일주일이 지났는데

똑같으니 무슨 문제가 있는게 아닌지 걱정이 돼서요...

서서히가 아니라 이렇게 갑자기 확 바뀔 수도 있나요

섬망이나 치매증상 같은데 병원에선 이상없다고 지켜보자고만 하니 답답해요

계속 지켜보는게 맞는건가요??

보호자는 어떻게 행동하는게 좋을까요

eyes-icon
개인 정보가 담긴 콘텐츠일 수 있어요.
질문의 내용을 확인하고
[사진 보기]를 눌러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섬망증상일 가능성이 높아 보입니다.

    섬망은 의식과 지남력(날짜, 장소, 사람에 대한 정확한 인식)의 변동을 주된 특징으로 하는 질환입니다. 주의력 저하, 언어력 감퇴 등 인지 기능 전반의 장애와 정신병적 증상이 나타납니다. 섬망은 혼돈과 유사하지만, 과다행동(안절부절못함, 잠을 못 잠, 소리 지르기, 물건을 꺼내는 행동 등)과 생생한 환각, 초조함, 떨림 등이 자주 관찰됩니다. 다양한 원인에 의해 갑자기 발생할 수 있습니다.

    치매와 섬망의 가장 뚜렷한 차이점은 '지속성'입니다. 섬망의 증상은 수일 이내에 급격히 나타나며, 원인이 해소되면 수일 이내에 호전됩니다. 또한 증상이 하루 중에도 심하게 변동하며, 이로 인해 퇴행성 치매와는 구별됩니다.

    원인 섬망은 상당히 흔한 질환으로, 전체 병원 입원 환자 중 10~15%가 섬망을 경험합니다. 특히 수술 후나 노인에서 더 흔하게 나타납니다. 섬망은 심각한 내과적, 외과적 또는 신경학적 질환 뿐만 아니라 약물 중독이나 약물 금단 상태에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단일 질환의 증후군이 아니라 다양한 원인 질환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섬망은 주로 감염, 열병, 저산소증, 저혈당증, 약물 중독, 약물 금단, 간성 뇌증 등과 같은 대사 장애와 뇌종양,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등과 같은 중추신경계 이상이 있을 때 흔하게 나타납니다. 또한 연령에 따라 원인 질환에 차이가 있으며, 감염, 발열, 약물 중독, 외상 등이 소아와 청소년에서, 알코올 중독, 대사성 질환, 심혈관 질환 등이 청장년과 노인에서 섬망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섬망증상에 대해 간략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수면 장애: 주로 밤에 불면 증상이 나타납니다.

    지남력 저하: 날짜 개념이 흐려지며, 가까운 가족이나 의료진을 알아보지 못할 수 있습니다. 자신이 있는 장소를 판별하기 어려워합니다.

    의식 장애, 집중력 감퇴: 어떤 일을 시켜도 집중하지 못합니다.

    사고 장애: 비논리적인 사고, 피해망상, 의심 등이 흔히 나타납니다. 입원 환자의 경우 의료진에 대한 피해 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정신 운동 장애: 과민성, 산만함, 과다 각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공격적, 충동적인 행동: 적절한 판단을 하지 못해 공격적이거나 충동적인 행동을 할 수 있습니다.

    증상의 변동: 하루 중에도 증상이 변동이 큽니다.

    섬망 치료의 핵심은 원인 질환의 치료입니다. 진단을 통해 원인을 확인하고 치료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환자의 환경을 적절히 조절하여 안정감을 유지하고, 의료진 및 가족의 도움을 받아야 합니다.

    심한 증상을 보일 때는 항정신병 약물을 사용하며, 수액과 영양 공급도 필요합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다면 추천과 좋아요 눌러주시기를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