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이비인후과 이미지
이비인후과의료상담
말끔한진도개298
말끔한진도개29821.09.28

만약 어디 마스크쓰고 다녀왔는데 확진자동선 겹치면 코로나걸릴확률이있나요?

여행이나 관광지 갔을때 만약 동선이 겹쳐서 검사받으면 양성 확률이 높나요? 아직 그런일은 없지만 미리. 알아보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옥영빈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접촉 정도에 따라 차이가 있겠습니다. 확진자와 동일한 장소에 있었더라도 거리가 2미터 이상 되었고 마스크를 잘 착용하였다면 걸릴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하지만 거리가 매우 가깝거나 마스크를 안 쓰고 있었다면 코로나에 걸릴 가능성이 아주 높지는 않아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경태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사람간에 전파되며 대부분은 감염자의 기침, 재채기, 말하기, 노래 등에 발생한 침방울(비말)에 접촉할 경우 발생합니다.(주로 2m 이내)

    표면접촉, 공기접촉도 가능은 하나 공기전파의 경우 밀폐된 공간과 같은 특정환경에서 제한적으로 전파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마스크를 쓰면 이러한 환경에 노출을 대폭 감소시켜주기 때문에 감염 가능성이 낮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병도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본인 마스크 쓰고 다녔고 확진자도 마스크 썼다면 1.5% 이하고요

    2 본인 마스크 쓰고 다녔지만 확진자가 마스크 안썼다면 70%로 올라갑니다.

    3 동선만 겹쳤지 한 공간에 10분이 상 오래 같이 있지 않았다면 확률은 더 줄고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변종석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어떤 마스크를 쓰더라도 감염 예방 100%를 장담하긴 어렵습니다

    KF마스크를 쓰면 바이러스 예방에 일반 마스크보단 더 효과적인 측면이 있습니다.

    하지만 코로나19 바이러스의 경우 비말을 통해 감염이 되기 때문에 KF-AD마스크나 천마스크로도 감염 예방에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코와 입을 전부 가리고 밀착되도록 착용하시는 것이 중요하며, 마스크 겉면은 오염된 상태이므로 만지지 않는게 중요합니다.

    코로나19 감염으로 모두가 힘든 시기인 만큼 건강에 더욱 유의하시기 바랍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셨을까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최용한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마스크 착용에 따른 바이러스 차단율을 이미 잘 보고되어 있습니다.

    두 사람 모두 마스크를 꼈을 경우 감염 전파율은 1% 미만입니다.

    한 사람만 꼈을 경우 감염 전파율은 10% 내외 입니다.

    두 사람 모두 안 겼을 경우 전파율은 80% 이상 입니다.

    답변남깁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강여울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확진자와 접촉자 모두 마스크를 끼고 있었다면, 감염률은 1.5% 라고 보고하였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통계적인 접근일 뿐입니다. 실제 확률은 접촉 강도에 따라서 달라집니다.

    그리고, 가장 중요한 것은 정확하게 마스크를 착용 (입과 코를 완벽하게 가림)이 아니면, 착용하지 않은 것과 동일한 효과를 나타낸다는 점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1.09.30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노동영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무래도 동선이 겹치면 확률은 올라갑니다.

    코로나19 바이러스는 공기중 비말로 전파가 되고 사물에 묻어있던 비말이 손과 눈 코 입을 통해서 들어가면 전염이 될 수 있습니다. 때문에 마스크와 손씻기가 매우 중요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창윤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마스크를 잘 썼다면 너무 걱정하지 않으셔도 되긴 합니다. 다만, 확진자의 비말 등이 닿은 물건 등을 만졌을 때 손씻기를 잘 하지 않고 그것이 눈코입으로 들어갔을 경우 감염 가능성 있으므로, 항상 손씻기 잘하기 바랍니다.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조영지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마스크를 사용한다고 해서 코로나로부터 100% 차단되는 것이 아닙니다. 따라서 감염될 수 있습니다. 하지만 마스크를 쓰지 않은 분들에 비해서는 낮을 수 밖에 없고 확진자 동선과 겹친다면 선별진료소 코로나 검사를 진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정진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마스크를 쓴다고 해서 100% 예방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따라서 확진자와 접촉하거나 비말에 의해서도 충분히 감염될 수 있어 코로나에 걸릴 확률이 존재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닥터최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동선이 겹치고 밀접접촉자로 분류된다면 양성의 가능성도 있습니다.

    다만 밀폐된 공간이 아니었고 손세정을 열심히 했으며 마스크를 잘 착용하셨다면 가능성은 떨어지겠죠.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수재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코로나에 감염되는 원인에는 여러가지가 있으며 다음과 같습니다.

    1. 확진자와 동선이 겹쳤는지

    2. 확진자와 5분이상 대화를 했는지

    3. 확진자와 음식을 같이 먹었는지

    4. 확진자와 있던 공간에 활발한 활동(운동)을 같이 했는지

    5. 환기를 했는지

    6. 마스크를 잘 착용했는지

    위와 같은 원인들에 의해 생기며 한가지를 지키지 못했더라도 나머지를 지키면 감염될 가능성이 매우 낮으니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동선이 겹쳐도 2-6번이 해당 안되면 가능성 매우 낮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이정현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확진자와 동선이 겹친다고 해서 반드시 감염되는것은 아닙니다.

    마스크를 잘 썼고, 밀접접촉을 한것이 아니라면 감염가능성이 떨어집니다.

    확진자와 어느정도 밀접접촉을 했느냐에 따라 달라질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약료 분야 지식답변자 양은중 약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마스크를 잘 쓰고 계셨다면 동선이 겹친다고 하여도 음성을 뜰 확률이 높습니다.

    다만 식당에서 식사를 하시다가 걸리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내에서는 조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안중구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확진자가 머문 자리나 만졌던 물건등에서 코로나 바이러스가 남아 있을 경우는 수시간내 손으로 만진 후 얼굴을 가져다 대지 않는 이상 드물다고 생각됩니다. 머물렀던 자리에 대한 경계도 중요하지만 손씻기로 충분히 예방이 가능합니다.

    코로나가 2년간 지속되고 있지만 확실하게 알려진 예방법은 마스크착용과 손씻기입니다. 확진자와 접촉했더라도 마스크를 얼굴에 딱 맞게 착용하고 손씻기를 잘해서 얼굴을 만지지 않았다면 감염될 가능성은 매우 낮습니다.

    2차 백신접종 완료 후 확진자와 짧은 시간 함께 있으면서 마스크를 잘 착용하신경우에 한해서 역학조사관의 판단하에 자가격리를 면제 받으실 수 있지만 상황에 따라 달라 일반적으로 적용하기는 힘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