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58
울퉁불퉁우람한침펜치5823.11.12

각나라의 시차는 어떻게 정해졌는지 궁금합니다

세계 국가들을 보면 나라는 틀려도 시간은 같이 사용하는데(우리나라와 일본) 이렇게 각 나라의 시차를 구분하여 사용하는것은 어떻게 정했는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채원 과학전문가입니다.


    현재의 시차는 전 세계적으로 소통이 급격히 증가하며 시간을 통일하기위해 정해졌고, 기준은 영국의 그리니치 천문대로부터 경도마다 시간을 나누어두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호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자전 주기가 24시간이라서 지구의 경도 360도를 24시간으로 나누어 경도 15에 1시간의 시차를 두게 했습니다.

    기준점은 그리니치 타임이고요.

    우리나라는 그리니치 타임 대비 +9시간

    즉 9시간 더 빠릅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각 나라의 시차는 경도에 따라 정해집니다. 경도는 지구의 중심을 기준으로 동서 방향으로 측정한 각도로, 0도부터 180도까지 있습니다.

    지구는 24시간에 한 바퀴씩 자전하기 때문에, 경도 1도당 4분의 시차가 발생합니다. 따라서, 경도가 0도인 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으로 동쪽으로 15도씩 이동할 때마다 1시간씩 시차가 발생합니다.

    예를 들어, 경도 135도의 한국은 그리니치 천문대보다 9시간 빨리 시간이 흐르기 때문에, 한국의 시차는 UTC+9입니다.

    이러한 원칙에 따라, 각 나라는 자신의 경도에 맞는 시차를 정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세계 시간은 그리니치 표준시를 기준으로 산출됩니다. 그리니치 표준시는 영국 런던의 그리니치 천문대에서 관측한 태양 시간을 기준으로 하여 정해졌습니다.

    시차는 그리니치 표준시와 해당 지역의 지방 표준시와의 차이로 계산됩니다. 예를 들어, 한국 표준시는 GMT+9 이므로, 한국 시간은 그리니치 표준시보다 9시간 빠른 시간입니다.

    세계 각 나라는 지역 특성에 맞게 자신들의 표준시를 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표준시를 기준으로 시차가 계산되며, 이를 통해 서로 다른 지역 간의 시간을 쉽게 비교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시차는 지역과 각 나라마다 각자의 시간관념으로 살다가 전인류가 모두 하나를 기준으로 시간 경도에 따라나눈 것입니다.

    현재 시차의 기준은 영국 런던 남동쪽에 있는 그리니치 천문대입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 천문대로부터 +9시간의 사간을 갖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시차가 생기는 이유는 지구가 둥글고 자전을 하고 있기 때문이입니다. 지구는 하루에 한 바퀴씩 자전을 하고 있고 그래서 나타나는 대표적인 현상이 낮과 밤입니다.

    태양을 마주하는 지역은 낮이 되고 반대편은 밤이 되는 것입니다. 또한 지구는 24시간 동안 서쪽에서 동쪽으로 360도 회전을 하기 때문에 15도마다 1시간씩 시간 차이가 발생합니다.

    시간을 나라마다 다르게 측정하면 혼란이 올 수 있기 때문에 세계는 본초자오선의 시간을 세계 표준시를 정해 사용하기로 약속을 했습니다.

    그리고 그것을 기준으로 국가별 표준시를 정하여 사용하고 있습니다. 1935년 당시에는 영국의 영향력이 컸기 때문에 국제 표준시의 표준 경선으로

    정해진 본초자오선은 영국 그리니치 천문대를 기준으로 정해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