폐렴접종 순서에 따른 예방효과가 다른가요?
총 질문은 3가지 입니다.
질의 1. 폐렴접종을 보통 15가->23가 이렇게 하면 효과 좋다고 권고 하던데 순서를 바꿔서 23가->15가 이렇게 맞으면 예방효과가 떨어지는건가요?
병원에 갔더니 올해 20가 출시예정이라 하여 23-20-23 추천하여 23가 먼저 맞았고,
23접종-> 1년 뒤 20가(출시되면)-> 4년 뒤 23가 이렇게 접종하면 평생안해도 된다하여 이렇게 할 예정으로 23가 먼저 맞았습니다.
그런데 선15가 후23가 접종시 면역증진, 선 23가 후15가 맞으면 면역감소효과가 있다는 어떤의사분이 유튜브에 올리신걸 보았습니다.
순서를 23가 먼저 맞아서 예방효과가 떨어질까 우려됩니다...
폐렴에 걸린적이 있어서 예방에 힘쓰려 합니다.
질의 2. 이미 23가 먼저 접종한 사람은 23가1년뒤 ->20가 4년뒤 ->23가 /65세부터 5년에 한번씩 23가 접종 이렇게 맞으면 되는건가요?..
질의 3. 저희 부모님은 60세 이신데 아직 백신 맞으신적이 없어 올해 20가-> 5년뒤 23가 맞으시고 5년에 한번씩 23가 맞으면 되는건가요? 어떤분은 5년에 한번이다 어떤분은 두번정도면된다 해서 몇회가 맞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수비 의사입니다.
폐렴 백신의 접종 순서와 종류에 따라 면역 효과는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일반적으로는 PCV13(13가) 또는 PCV15(15가) 같은 단백결합백신을 먼저 접종한 뒤, PPSV23(23가 다당백신)을 나중에 맞는 것이 면역 증강 효과가 더 뛰어나다고 보고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23가를 먼저 접종했다 하더라도, 이후 단백결합백신(예: 15가, 20가)을 추가로 맞으면 어느 정도 보완 효과가 있으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특히 현재 계획하신 23가 → 1년 뒤 20가 → 이후 23가 재접종의 일정은 최신 지침에 비교적 잘 맞춰져 있으며, 효과도 충분하다고 판단됩니다. 다만 중간 접종 간격은 주치의와 상의해 정확히 맞추는 것이 중요해요.
두 번째, 이미 23가를 먼저 접종한 경우라면 이후 단백결합백신(20가)을 최소 1년 간격으로 맞고, 필요 시 5년 이상 간격을 두고 23가를 재접종하는 방식이 좋을 듯 합니다
세 번째로, 60세 부모님이 아직 접종을 안 하셨다면, 현재 기준으로는 20가 단독 접종으로도 충분한 보호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며, 향후 고위험군이라면 5년 간격으로 23가를 한두 번 추가 접종할 수 있습니다.
다만 5년마다 반복 접종이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고, 기저질환 유무나 면역상태에 따라 횟수는 달라질 수 있으니 담당 주치의와 개인 맞춤형 접종계획을 세우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1명 평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