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생물·생명

훤칠한굴뚝새46
훤칠한굴뚝새46

1년중 강수량이 제일 많은 계절은 언제인가요?

예전 초등 과학시간에 1년중 강수량이 제일 많은 계절이 겨울이라고 배웠는데 그 이유가 무엇일까요? 기억이 가물가물해서 올려봅니다. 아시는분 답변해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손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예전에 배운 것처럼 1년 중 강수량이 가장 많은 계절은 겨울입니다. 이유는 여러 가지가 있지만 가장 큰 이유는 대기의 온도 차이 때문입니다. 겨울에는 지구의 축이 기울어져 있어서 북반구에서는 태양의 직사가 더 적게 들어오게 됩니다. 그래서 대기의 온도가 낮아지고 이는 공기의 밀도가 증가하게 됩니다. 이렇게 밀도가 증가하면 공기가 더 많은 수증기를 포함할 수 있게 됩니다. 그리고 이 수증기가 물방울로 변하면서 강수가 발생하게 됩니다.

      반대로 여름에는 지구의 축이 기울어져서 태양의 직사가 더 많이 들어오게 됩니다. 그래서 대기의 온도가 높아지고 이는 공기의 밀도가 낮아지게 됩니다. 이렇게 밀도가 낮아지면 공기가 더 적은 수증기를 포함할 수 있게 됩니다. 그래서 여름에는 강수량이 적어지게 됩니다.

      그리고 겨울에는 북반구에서는 대기가 더 많은 수증기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더 많은 강수가 발생하게 됩니다. 반대로 남반구에서는 여름이기 때문에 대기가 더 적은 수증기를 포함하고 있어서 강수량이 적어지게 됩니다. 감사합니다.

      도움이 되셨다면 아래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의 연평균 강수량은 약 787mm 정도로 여름철 장마나 태풍의 영향으로 가장많은 강수량을 기록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강수량이 겨울에 많다고 배우셨다면 그것은 여러분이

      사는 지역의 특정 기후 패턴 때문일 수 있습니다

      기후는 지역마다 다르기 때문에 어떤 지역에서는 겨

      울이 가장 습한 계절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지중해 기후에서는 겨울에 대부분의 비가

      내리는 반면 열대 지방에서는 여름에 우기가 있습니다

      겨울에 많은 강수량이 나타나는 지역에서는 겨울이

      찬 대기와 따뜻한 대기가 만나는 계절이기 때문일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대기 중 물증기가 응결되어 비나 눈으로

      내리는 현상이 더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대기가 냉각되어 대기 중 수증기 용량이 줄어들면

      강수가 발생하기 쉬운 환경이 됩니다

      이는 겨울철에 눈이나 비 형태로 강수가 많아지는

      것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

      니다